대선 후보였던 문재인 민주당 의원이 검찰 소환에 응하기로 했다. 2007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이 국가기록원에 이관되지 않은 경위를 두고 검찰이 참고인 자격으로 출석을 요구했다. 문 의원은 이에 대해 4일 "의연하고 당당하게(수사 협조에) 응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문 의원은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꿈보따리정책연구원의 창립 심포지엄에 모습을 보였다. 기자들이 '검찰의 출석 요구에 문제가 있다고 보는가' 묻자 "제가 응하겠다는 뜻을 밝힌 바 있다"며 즉답을 피했고, 출석 일자에 대해선 "검찰과 협의하는 대로 내일이든 모레든 가급적 빨리 소환에 응할 것"이라고 했다. 이르면 오늘도 출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출석 요구의 시점과 형식에 대해선 "크게 중요하지 않다"고 답했다.
민주당은 이날 문 의원의 검찰 출석을 두고 '편파수사' '정치보복'이라 규정해 반발했다. 차기 대권 주자인 문 의원을 망신주려는 의도가 아니냐는 것이다. 문 의원은 검찰이 출석해달라고 통보한 이틀 뒤인 3일 출석 사실을 김한길 대표와 지도부에게 알리고 대응 방안을 지도부에 일임했다.
우원식 최고위원은 "국민 48%의 지지를 얻은 제1야당 대선후보였던 분에 대한 망신주기 아니냐"며 "국가기관의 대선 개입 쟁점을 대화록 문제로 돌리려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새누리당은 문 의원의 검찰 출석 후 수사 협조를 두고 "국민적 의혹을 조속히 해소하기 위해 책임 있고 성실하게 조사에 임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날 민현주 대변인은 "문 의원은 대화록 문제에(당시 정상회담 준비위원장으로서) 직접적으로 책임이 있는 분"이라고 논평했다.
하지만 일각에선 20명 가까이 참고인 조사를 해 수사한 상황에서 문 의원을 불러 조사할 필요가 있느냐는 해석을 내놓고 있다. 야권 때리기로 밖에 볼 수 없다는 것이다. 과거의 일을 두고 정국이 한 걸음도 앞으로 나가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서상현기자 subo801@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연휴는 짧고 실망은 길다…5월 2일 임시공휴일 제외 결정
골목상권 살릴 지역 밀착 이커머스 '수익마켓' 출시
[단독] 국민의힘, '한동훈 명의 당원게시판 사태' 덮었다
文, 뇌물죄 기소에 "터무니없고 황당…尹 탄핵에 대한 보복"
이재명 "수도권 주요 거점을 1시간 경제권으로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