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원전·화전 들어온다" 영덕 부동산 투기 꿈틀

원전 1곳·화력 3곳 추진…부지 소유 80%가 외지인

올 연말 국가에너지기본계획에서 영덕 천지원전 건설 확정이 유력해진 가운데 화력발전회사들도 무더기로 영덕에 화력발전소 건설을 추진하면서 지역 전체가 부동산 투기 열풍에 휩싸이고 있다.

올 8월 가장 먼저 주민 설명회에 나선 한전 자회사인 중부발전은 영덕읍 매정리'오보리 등에 99만㎡, 뒤이어 뛰어든 동부그룹의 동부발전과 SK그룹의 SK E&C는 각각 축산면 경정리 99만㎡와 남정면 원척리 일대 200만㎡ 규모의 화력발전소 건설을 추진 중이며, 대림산업 역시 주민들과 접촉 중이다.

화력발전회사들이 토지보상비와 각종 지원금 등 장밋빛 청사진을 제시하며 홍보에 나섰고, 일부 주민들은 이에 편성해 유치위원회까지 구성하며 땅값 띄우기에 불을 지피고 있다. 여기에다 군의회가 환경오염 등 문제점이 없는지 현장 확인차 이달 초 중부발전의 보령화력발전소를 방문했으며, 영덕군 간부들도 조만간 방문할 계획이어서 화력발전소 바람이 절정에 달하고 있다.

이 때문에 화력발전소 예정지 일대의 부동산 가격이 요동치고 있다.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영덕읍 매정리'오보리 등과 축산면 경정리 등 원전 주변지역에다 화전 예정부지까지 겹치면서 땅값이 지난해보다 최소 20~30% 이상 올랐다. 평당 10만~15만원 하던 임야가 20만~30만원을 호가하고 10만원 하던 전답이 15만원 이상이 됐다.

영덕지역 한 부동산중개업소 관계자는 "축산'영덕'강구에는 이미 좋은 땅이 얼마 없다. 하지만 투자 의사가 있다면 많지는 않지만 2, 3년 내 두 배 정도의 상승 여력이 있는 땅을 소개해 줄 수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들 화력발전소 건설은 주민들의 수용성뿐만 아니라 건설타당성 분석'환경영향평가에 이어 내년 7차 전력수급계획에 반영되어야 하고 지자체와 지방의회의 동의 등 넘어야 할 산이 한두 가지가 아니다.

영덕군 한 관계자는 "지역경기와 고용창출 등 효과를 생각하면 긍정적인 측면이 없는 것도 아니지만 냉정하게 바라본다면 마지막에 4개 중 몇 개가 확정되고 건설될지는 아무도 모른다. 벌써 다 된 것처럼 생각한다면 큰 오산이다"며 섣부른 유치 바람을 경계했다.

결국 땅값만 다락같이 올려놓고 무산된다면 단기 차익을 노리고 뒤늦게 부동산 구입에 나선 사람들은 소위 '상투'를 잡을 가능성이 높다. 한번 오르면 잘 내리지 않는 부동산 가격의 특성으로 향후 영덕의 지역개발에도 적지 않은 지장을 줄 수도 있다는 것.

부동산 업자들은 "병곡면과 고래불 쪽은 10~20년을 보고 투자해야 한다"고 말한다.

영덕군에 따르면 영덕의 원전 예정부지와 화력발전소 예정 부지는 이미 70~80%가 영덕에 주소를 두지 않은 사람(출향인 등 포함)의 이름으로 돼 있다. 땅값이 오르더라도 영덕에 살고 있는 사람들이 큰 이득을 보기는 어렵다는 것이다.

한편 한국감정원이 조사한 영덕군 지가 상승률은 지난 8월 세종시 등에 이어 전국에서 다섯 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올 들어 9월까지 누적 지가 상승률도 1.187%로 도청 이전지로 부동산 바람이 불고 있는 예천 2.033%와 안동 1.377%에 이어 경북 지역에서 세 번째로 높았다.

영덕'김대호기자 dhkim@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