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울릉도 '에너지 자립' 프로젝트…6년간 3,902억 투입 세계 최대 청정섬으로

경북도는 에너지 신산업 육성이라는 국가 기조에 맞춰 다양한 에너지 신산업 육성에 나서고 있다. 이 중 울릉도 친환경에너지 자립섬 조성사업은 도가 내세우는 대표적인 신산업이다.

현재 울릉도는 전력 생산량 약 1만3천㎾ 중 대부분이 디젤 발전기를 이용한 화력발전소에서 생산되고 있다. 이곳이 친환경에너지 섬으로 변신하면, 울릉도는 전체 전력을 신재생에너지로 사용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에너지 자립섬이 된다.

친환경에너지 자립섬은 국내 주요 도서지역에 친환경 기술을 적용한 에너지 자급설비를 구축하는 사업으로, 울릉도가 국내 첫 사례다.

경북도는 이 사업을 위해 올해부터 2020년까지 6년 동안 모두 3천902억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오는 6월쯤 특수목적법인(SPC)을 설립하고, 이르면 7월 중 친환경에너지 자립섬 착공식을 열고 본격적인 공사에 들어간다.

경북도는 2단계로 나눠 친환경에너지 자립섬을 계획하고 있다.

올해부터 2017년까지 진행되는 1단계 사업은 신재생에너지 비중 확대를 위해 디젤 발전 축소와 수력, 풍력, 태양광, ESS(에너지 저장장치) 설치를 통한 연계시스템 등을 구축한다.

2018~2020년까지 진행할 2단계 사업은 지열자원과 연료전지, ESS 설비 확대 등을 골자로 하고 있다. 또 이 시기에 전기자동차와 전기 어선도 보급할 계획이다.

정부는 울릉도 친환경에너지 자립섬 조성을 통해 1조7천억원의 운영 편익이 발생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또 국가적 차원에서 에너지 소비절감, 생산유발, 고용창출, 이산화탄소 절감을 통해 1조4천억원의 경제적 효과가 유발될 것으로 추산했다.

정욱진 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