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공용 쌀의 활용 분야가 떡이나 막걸리에서 면이나 디저트 등으로 확대되고 있다.
21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국내 쌀 가공산업 매출액은 4조1천775억원으로 2008년(1조8천억원)과 비교해 시장 규모가 133.3% 증가했다.
분야별로는 떡류 제조업이 매출액 중 33.3%를 차지해 가장 많으며 이어 도시락'식사용 조리식품 등 밥류 제조업(31.9%), 막걸리 등 주류(19.7%) 순이었다. 아직 과자(1.2%)나 면류(0.7%) 등은 매출 규모와 비중이 크지는 않지만 앞으로 성장 가능성이 큰 분야로 주목받고 있다.
쌀로 만든 면은 떡과 비슷한 특유의 식감 때문에 인기가 없었으나 최근 파스타 등 쌀면의 종류가 다양해지고 있다. 밀가루 대신 쌀, 옥수수, 감자 등 곡물 전분을 배합해 면을 만든다. 식감을 좋게 하기 위해 쌀가루를 물에 섞어 얇게 편 뒤 건조'숙성시켜 잘라 만드는 방법을 쓴다.
젊은 층이 선호하는 디저트 메뉴에도 쌀이 들어가기 시작했다. 빙수에 우리쌀로 만든 누룽지와 라이스칩을 올리고 쌀 조청으로 맛을 낸 제품이 디저트 전문매장에 등장했다.
1인당 연간 밥쌀 소비량은 1995년 106.5㎏, 2005년 80.7㎏, 2014년 65.1㎏으로 감소하고 있지만 가공용 쌀 소비량은 2005년 1인당 4.1㎏에서 2014년 8.9㎏으로 2배가량 늘었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