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으로부터 30여 년 전 정말 재미나게 읽었던 윤흥길의 '완장'이란 소설이 새삼 떠오르는 요즘이다. 이 소설은 월급 5만원에 저수지 관리원이 된 임종술이 완장을 차고 권력의 맛에 길들어 가는 과정을 그리고 있다. 작가는 임종술을 통해 우리 마음속에 남아 있는 권력에 대한 선망과 원망, 복수, 공포를 다루고자 했다.
실제로도 완장은 그만한 힘이 있었다. 그 옛날 학창시절 교문 앞을 지키고 있던 선도부를 생각해보라. '선도'라는 완장을 차고 두발검사, 복장검사, 지각 등을 감시하던 병영의 헌병과도 같은 학생 경찰이었다. 학교 앞에서 교복의 '호꾸'(교복의 목 부분을 잠그는 고리)를 채우고 비뚤어진 모자와 흐트러진 옷매무새를 만지며 종종걸음으로 마음 졸이던 등굣길이 생각난다. 완장은 조금 더 거슬러 올라가면 일제가 조선인을 감시하기 위한 일본경찰의 앞잡이들에게 준 비표였다. 완장의 위세는 여기서 끝나지 않았다. 해방 정국과 6'25전쟁 때의 완장은 죽고 사는 생사 여부를 쥐고 있었다. 그 이후로도 완장의 권력 문화는 쉽게 사라지지 않았다. 길거리 무허가 좌판을 걷어내던 이들의 팔뚝에도 완장이 있었고 각종 불법을 감시하던 이들에게도 완장이 있었다.
완장을 찬 이들은 완장을 통해 그동안 몰랐던 권력의 본질에 눈을 뜨는 경우도 더러 있었다. 첫째는 자신에게 완장을 채워준 권력을 존중해야 한다는 것과 둘째는 그 완장의 힘을 빌려 권세를 극대화할 때만이 자신이 대접을 받는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자신에게 주어진 권력을 넘어서서까지 그 완장의 위세를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되는 데 이르면, 완장을 찬 그자는 이제 권력의 화신이 된다. 권력의 맛에 취해서 안하무인이 되고 권력을 사용하고 싶어 근질거리는 근육을 어찌할 수가 없다. 주변에서도 끊임없이 유혹으로 부추긴다. "힘은 있을 때 쓰는 거야!" "너, 힘없어 봐라. 제일 먼저 달려드는 게 너에게 당한 자들이야." 권력에 대한 번민이 쉴 새 없이 요동친다.
이러한 유혹을 뿌리칠 힘은 이성이며, 절제와 자기 통제이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작으나마 권력에 맛 들인 권력의 화신들은 이성과 절제가 없다. 다만 브레이크 없는 권력욕에 사로잡히다 보면 때로 권력의 본질을 꿰뚫어 보는 눈도 생긴다. '완장'의 임종술은 이렇게 외쳤다. "눈에 뵈는 완장은 벨 볼일 없는 하빠리들이나 차는 게여! 진짜배기 완장은 눈에 뵈지도 않어! (중략) 권력 중에서도 아무 실속 없이 넘들이 흘린 뿌시래기나 주워 먹는 핫질이 바로 완장인 게여."
자신이 그 핫질(下質)인지도 모르고 아직도 완장질을 하는 '하빠리'들이 많이 있다. 새로운 시대, 새로운 나라에선 제발 '완장 문화' 하나만큼은 사라지길 고대해본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