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는 26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서울 답방 시기와 관련, "여러 가능성을 열어놓고 논의 중"이라고 밝혔다. 김 위원장의 연내 답방을 추진하겠다는 기존 입장에서 한 발짝 물러선 것으로 김 위원장의 답방이 올해를 넘길 수 있다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김 위원장의 연내 답방이 가능한가'라는 질문에 "여러 가지 가능성을 다 열어놓고 논의 중"이라며 "2차 북미정상회담 전이 좋을지 후가 좋을지 어떤 게 한반도의 평화·번영을 가져오는 데 더 효과적일지 여러 생각과 판단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이 발언은 2차 정상회담 날짜·장소 및 의제를 결정하기 위한 북미 고위급회담이 계속해서 지연되는 기류와 맞닿아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김 대변인은 '북미 고위급회담이 이달 중 열리기 어렵다는 관측이 있다'는 물음에 "저희가 (북미 고위급회담이) 11월에 열린다고 한 적이 없다"며 "언론이 구체적인 날짜까지 거명하며 그렇게 예측했다가 또 안 된다고 하고 있어서 저희도 지켜보는 중"이라고 말했다.
'한국 정부가 예측하는 북미 고위급회담 날짜는 언제인가'라는 추가 질문에 그는 "구체적인 내용을 다 말씀드릴 수 없다"며 "북미 간 현재 논의 중이며, 가급적 빨리 열리길 기대한다"고 했다.
김 대변인은 '연내 종전선언이 가능하다고 보느냐'는 질문에는 "종전선언은 연내가 목표라고 하지 않았느냐"라면서도 "우리 정부만의 또 남북의 결정만으로 될 수 있는 것도 아니고 남북미 3자가 다 합의를 해야 하는 것이어서 그 최종 목표를 위해 여전히 논의 중"이라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