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균형발전은 21세기 대한민국 정부의 숙제 중 하나입니다. 혁신도시 지정, 공공기관 지방 이전, 행정수도 건설 등 갖가지 노력을 해도 쉽지 않은 게 지역균형발전인데요, 이런 걱정을 할 수 밖에 없는 단초가 50년 전 매일신문에 드러납니다.
1970년 8월 1일자 매일신문 4면에 실린 '無色(무색)한 企業地方分散(기업지방분산)'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봅시다. 첫 문장이 '신설법인기업체의 87.2%가 서울, 부산 양대도시에 여전히 편재함으로써 정부의 기업지방분산시책을 무색케 하고 있다'고 하고 있습니다. 쉽게 말하면 당시 대한민국에서 취직을 하려면 서울 아니면 부산에 가야만 했다는 말이 되겠습니다. 그나마 대구가 전국에서 3.4%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지만 당시 대구도 대도시 소리를 듣던 곳이라 '대도시 편중'이라는 비판에서 자유롭지는 못했죠.
이 기사에서는 대책으로 '도시와 지방간의 금융격차 해소' 등 정부가 적극적으로 시책을 펴야 한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교통도, 금융서비스도 50년 전보다 훨씬 더 나아진 지금도 못 푸는 게 기업의 지방분산인데요, 정말 방법은 없는 걸까요?

요즘 어떤 담배를 애용하시나요? 전자담배가 유행하면서 담배의 국적이 좀 애매모호해진 경향도 없잖아 있는 듯한데요, 50년 전만 해도 '양담배'라 불리는 외국산 담배는 단속의 대상이었습니다. 양담배를 단속했던 이유는 당시 담배는 국가의 전매사업이었기 때문에 양담배로 국가 수입이 줄어드는 것을 국가가 보고 있을 수만은 없었기 때문이었습니다. 표면적 이유는 국내 담배 농가 보호 등의 이유를 들었겠지만요.
어쨌든 당시 외국산 담배를 소지하거나 판매하는 것은 불법이었고 적발되면 벌금을 물어야 했습니다. 하지만 외국산 담배는 유흥업소나 껌팔이나 구멍가게에서 한 개비 씩 파는 식으로 음성적으로 퍼져나갔죠.
1970년 8월 1일자 매일신문 7면에 실린 양담배 단속 관련 기사를 보면 대구전매청이 28일 밤 9시부터 11시까지 대구시내를 돌아다니며 단속한 건수는 겨우 네 건에 불과한데, 호텔이나 유흥주점 등 소위 '나올 만한 곳'을 돌아다닌 게 아니라 길거리 껌팔이와 구멍가게에서 나온 걸 적발한 데 불과해 '겉핥기식 단속'을 한 것이 아니냐는 비판을 제기하고 있습니다.
요즘은 담배피는 사람들도 많이 줄어드는 추세인데다 담배 관련 이슈는 대개 담뱃값에 집중되죠. 담배 하나에도 이렇게 많은 역사의 흐름이 숨어 있습니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
한문희 코레일 사장, 청도 열차사고 책임지고 사의 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