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우디, '단교' 카타르와 3년7개월만에 영공·국경 개방 합의

단교 사태 해결 수순…미국의 '이란 압박' 정책과 맞물려

사우디아라비이와 카타르가 3년 7개월 만에 영공과 국경을 다시 열기로 했다. 사진은 2019년 12월 리야드에서 열린 연례 걸프협력회의(GCC) 정상회의. AFP·연합뉴스
사우디아라비이와 카타르가 3년 7개월 만에 영공과 국경을 다시 열기로 했다. 사진은 2019년 12월 리야드에서 열린 연례 걸프협력회의(GCC) 정상회의. AFP·연합뉴스

단교 상태인 사우디아라비아와 카타르가 영공과 국경을 다시 개방하기로 했다고 로이터, AP 통신 등이 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아흐메드 나세르 무함마드 알사바 쿠웨이트 외무장관은 이날 쿠웨이트 TV에 나와 "오늘 저녁을 기해 사우디와 카타르가 영공과 육로, 해상 국경을 연다는 합의에 도달했다"고 말했다. 또 5일 사우디 북서부 도시 알울라에서 열릴 연례 걸프협력회의(GCC) 정상회의에서 이 합의에 대한 서명이 진행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AP는 사우디와 카타르의 이번 합의에 대해 걸프 국가들의 외교적 위기를 해결하는 첫 걸음이라고 평가했다.

사우디와 카타르가 영공과 국경을 다시 열기는 3년 7개월 만이다. 미국의 우방인 이집트, 사우디, 아랍에미리트(UAE), 바레인은 2017년 6월 이슬람 테러조직 지원, 이란과 우호 관계 등을 이유로 카타르와 단교를 선언했다.

아랍권 4개국은 카타르와 단교 철회의 조건으로 테러 용의자 정보 제공, 카타르 국영 알자지라 방송 폐쇄, 이란과 제한적인 상업 거래 이외의 교류 금지 등 13가지를 제시했다. 그러나 카타르는 주권을 침해하는 부당한 요구라며 거부했고 테러그룹도 지원하지 않았다고 반박해왔다.

사우디와 카타르의 화해는 트럼프 미 행정부가 추구해온 이란 압박의 연장선에 있는 것으로도 풀이된다. 카타르는 해상 가스전을 공유하는 이슬람 시아파 맹주 이란과 가까운 관계를 유지해왔기 때문이다. 이란 입장에서는 이슬람 수니파 대국 사우디와 카타르가 다시 손잡는 상황이 불편할 수 밖에 없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