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광역단체장 13명 "내 집서 출퇴근"…홍준표·이철우는 관사 사용

3명만 입주·강원은 미정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도청 뒷편 잡아센터(구 대외통상교류관) 일부 공간을 관사로 이용하고 있다. 잡아센터 전경. 매일신문 DB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도청 뒷편 잡아센터(구 대외통상교류관) 일부 공간을 관사로 이용하고 있다. 잡아센터 전경. 매일신문 DB

6·1 전국동시 지방선거에서 당선된 광역지방자치단체장 17명 중 13명이 관사를 사용하지 않고 자택에서 출퇴근할 계획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권위주의 상징 폐지'와 '예산 절감' 등을 '내 집 출퇴근' 이유로 들었다.

23일 전국 17곳의 광역지자체에 따르면 현 단체장이 관사를 숙소 용도로 사용 중인 곳은 경북·대구·전북·충남·충북·강원 등 6곳이며, 이 가운데 3곳의 단체장 당선인만 내달 임기 시작 후 관사에 입주한다.

대구경북의 경우 단체장들이 관사를 사용할 계획이다.

경북도의 경우 이철우 지사가 연임에 성공하며 기존 관사를 유지한다. 이 지사는 2018년 취임 이후부터 청사 뒷편의 잡아센터 건물 일부를 관사로 활용 중이다.

또 홍준표 대구시장 당선인과 김관영 전북도지사 당선인도 관사 입주를 결정했다.

홍 당선인은 권영진 현 시장이 사용하는 관사(수성구 수성동 롯데캐슬아파트, 매입가 6억4천800만원)의 매각 대금 범위내에서 남구 봉덕동 삼성래미안 아파트를 구입해 입주할 예정이다.

김 당선인은 1971년 준공한 전북지사 관사에 들어간다. 전주 한옥마을 내 2층 단독주택(대지 599㎡, 건물 402㎡)으로 가격은 15억5천만원이다.

반면 김태흠 충남도지사 당선인과 김영환 충북도지사 당선인은 자택 출퇴근을 결정했다. 김진태 강원도지사 당선인의 경우 최문순 현 지사가 사용중인 관사 현황을 파악한 뒤 다음달 입주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다.

강원도의 경우 김진태 당선인이 최문순 현 지사가 사용 중인 관사 현황을 파악한 뒤 다음 달 중순께 입주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다.

세종시, 광주시, 울산시, 인천시, 대전시, 서울시, 전남도, 제주도 등 8곳은 관사가 아예 없거나 기존 관사를 어린이집 등으로 용도를 변경했으며, 경남도는 비어 있는 상태다.

나머지 부산시와 경기도 등 2곳은 관사를 유지하고 있지만, 숙소로는 사용하지 않고 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