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안동시가 추진한 '안동시 행정구역 통합추진 지원 조례'를 둘러싸고 예천지역 단체들의 반대 분위기가 확산되는 가운데, 경북도청 신도시 주민들이 양 도시 행정구역 통합 추진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30일 도청 신도시 예천지역에 거주하는 주민을 중심으로 한 50여명은 도심 한 식당에서 모임을 갖고 예천·안동 행정구역 통합의 필요성과 당위성에 대해 공감하고 '예천·안동 행정구역통합 신도시추진위원회'를 창립했다.
이날 참석자들은 '행정구역 통합이 진정한 예천·안동의 상생발전 모델'이라는데 뜻을 같이하고, 양 도시 단체장과 의회 의장에게 단순한 찬성과 반대가 아닌 진정한 행정구역 통합을 위해 시·군민들이 참여할 수 있는 공론의 장을 만들 것을 요구했다.
이날 추진위원회는 창립선언문을 통해 "예천과 신도시, 안동이 경쟁력 있는 도시로 상생발전하기 위해서는 예천·안동의 행정구역 통합이 필요함을 인식하고 있다"고 창립 취지를 밝혔다.
실제로 신도시 주민들은 안동·예천으로 갈라진 행정이원화로 법무행정은 상주로, 세무행정은 영주로, 기타행정은 안동으로 가야하는 불편을 겪고 있는 등 도시건설에서부터 운영에 이르기까지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고 주민들의 생활 불편과 혼선을 호소하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이들은 예천·안동은 지난 2020년 국회의원 선거구획정위 과정에서 뜻있는 인사들의 노력으로 단일 선거구로 조정시켰으며, 이는 예천·안동 행정구역 통합을 전제로 한 미래 경쟁력 확보 차원의 결과물이었다고 덧붙였다.
추진위는 "경북도청 공동유치의 상생협력 정신을 바탕으로, 양 도시가 미래 천년을 준비하는 도읍지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통합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라며 "기득권 세력의 정치적 이해관계에 따라 결정할 것이 아니라, 시군의 의견에 따라 통합은 결정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따라 추진위는 "양 도시의 정치인과 기득권 세력들이 진정한 통합 논의와 행동에 나서지 않을 경우 도청 신도시를 별도의 행정구역으로 분리하는 운동을 전개할 것"이라 밝혔다.
이날 추진위원장으로 선임된 권중근 (사)경북도청신도시발전협의회 회장은 "생활권과 행정권이 달라 생기는 불편은 신도시 주민들이 최대 피해자들"이라며 "양도시의 행정통합은 양 도시의 정체성을 간직하면서도 인구절벽과 지방소멸 등 지방도시들이 처한 현실을 극복하고 지속 가능한 도시로 거듭나기 위한 것"이라 했다.
한편, 예천·안동 행정통합 신도시 추진위는 올 해 통합 공론화협의체를 구성하고, 내년에는 안동·예천·신도시 통합포럼 개최, 2024년 통합 주민투표발의와 투표실시, 2025년 통합추진위공동구성을 통해 2026년 민선9기에는 통합 단체장을 선출한다는 로드맵도 제시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한 총리 탄핵 기각에 "국민이 납득할지 모르겠다"
'국회의원 총사퇴·재선거' 제안한 이언주…與, 릴레이 지지
민주당, 韓 복귀 하루만에 재탄핵?…"마은혁 임명 안하면 파면"
홍준표 "탄핵 기각되면 대구시장 계속…역점적으로 사업 추진"
"불타버린 삶, 이제 어디로"… 의성산불 이재민들, 무너진 일상에 눈물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