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덕수 국무총리는 현재까지 154명이 숨진 '이태원 참사'와 관련해 "일부에서 인터넷, SNS 등을 통해 사상자들을 혐오하는 발언이나 허위조작 정보, 자극적인 사고 장면을 공유하고 있다"며 "이러한 행동은 절대 자제해주길 간곡히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한 총리는 31일 오전 9시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이태원 사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에서 "다시 한번 사망자와 유가족들에게 깊은 위로를 드리며 부상자들의 빠른 쾌유를 기원드린다"며 이같이 밝혔다.
한 총리는 "사망자 154명 중 1명을 제외하고 신원 확인이 마무리돼 이제는 장례 절차 등의 후속 조치가 본격적으로 이뤄져야 하는 시점"이라며 "유가족들의 의견을 최대한 반영해 필요한 지원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정부는 사고 발생 이후 '이태원 사고 중대본'을 즉시 가동하고 서울시 용산구를 특별재난지역으로 하는 등 사고 수습을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며 "지방에 거주하는 유가족에 대한 지원과 외국인 사망자 가족들의 입국 지원 등에도 만전을 기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 총리는 이날 아침부터 합동분향소 운영에도 들어간다면서 "서울시와 용산구는 합동분향소 운영과 사상사 지원 등 사고 수습에 박차를 가해 주시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한 총리는 "정부는 사고의 원인을 철저히 조사해 불행한 사고가 되풀이되지 않도록 필요한 제도 개선에도 최선을 다하겠다"며 "정부와 지자체, 관계기관, 의료기관은 함께 힘을 모아 마지막 순간까지 사고 수습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사상자 구조에 애쓴 구조 인력들의 노고와 현장에서 자발적으로 도움을 준 시민 여러분께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고 전했다.
앞서 서울 용산구 이태원동 일대는 지난 29일 밤 핼러윈을 앞두고 최소 수만 명의 인파가 한꺼번에 몰리면서 대규모 압사 참사가 났다.
이를 본 일부 시민들은 사고 장면을 영상으로 찍어 모자이크 처리 없이 SNS에 올리는 등 행동을 했다. 심지어 일부 시민들은 이태원 참사로 숨진 사망자에 외모평가를 하는 등 행동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이태원 참사로 인한 인명피해는 사망자 154명, 중상자 33명, 경상자 116명 등 총 303명이다. 정부는 지난 30일부터 오는 11월 5일까지를 국가 애도 기간으로 지정했다.
댓글 많은 뉴스
'30번째 탄핵' 野, 崔대행 탄핵소추 발의…'줄탄핵' 무리수 비판 거세 [영상]
홈플러스, 회생신청서에 "17일부터 현금부족"… 5월 말 부도 예상
이재명 '대장동 재판' 증인 불출석… "또 안 나오면 과태료"
[속보] 민주당, 오후 2시 최상목 권한대행 탄핵소추안 발의
이재명, 유발 하라리에 'K엔비디아' 언급…"공산주의자라 공격 받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