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 16개 시민단체, 국힘 앞에서 지지 집회

오후 2시부터 4시까지 약 1천명 참석, 행진까지
버스 무정차 통과에, 도로 통제도…시민들 "불편해"

6일 오후 2시쯤 찾은 대구 수성구 범어동 국민의힘 대구시당. 대구시민단체와 노조 등 약 1천명이 총파업 총력 투쟁대회에 참석했다. 심헌재 기자.
6일 오후 2시쯤 찾은 대구 수성구 범어동 국민의힘 대구시당. 대구시민단체와 노조 등 약 1천명이 총파업 총력 투쟁대회에 참석했다. 심헌재 기자.

민주노총 등 대구시민단체들은 6일 정부와 여당이 안전운임제 지속 추진 합의를 파기했다는 이유로 대규모 '총파업 총력투쟁대회'를 열었다. 대규모 인파로 도로가 통제되면서 일부 시민들이 항의도 이어졌다.

민주노총 대구지역본부, 대구민중과함께 등 대구 16개 시민단체와 노조는 6일 오후 2시 국민의힘 대구시당 앞에서 집회를 열고 '안전운임제 개악 저지, 일몰제 폐지, 안전운임 차종·품목 확대'를 요구했다.

김동수 화물연대본부 대구경북본부장은 "안전운임제는 과로, 과속, 과적을 방지해 국민의 안전을 지키면서 화물노동자들에게는 최저임금을 주는 제도"라며 "안전운임제를 폐지하는 것은 국민과 화물노동자들의 안전에 관심이 없는 것으로밖에 볼 수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대동 대구민중과함께 상임공동대표도 "'안전'과 '생명'이라는 단어에 '일몰'이라는 단어는 맞지 않다"며 "안전운임제는 그 누구도 손대지 못하게 우리가 함께 지켜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본부는 지난달 24일부터 총파업 투쟁에 돌입했다. 이날 대회는 화물연대 파업 지지와 연대를 목적으로 열렸다.

대규모 인파가 모인 집회로 일부 도로에 교통정체가 발생하는 등 시민들의 불편한 모습도 확인할 수 있었다. 민주노총과 경찰 등에 따르면 이날 집회에는 약 1천명이 참석했다. 이들은 국민의힘 대구시당 앞 3개 차선을 통제했고, 대구고용노동청까지 1.6km 구간을 행진하는 과정에서는 2개 차로를 막았다.

이에 불편함을 느낀 일부 운전자들이 끊임없이 차량 경적을 울렸고, 창문을 내리고 고함을 치는 이들도 볼 수 있었다. 724, 순환2-1, 814, 수성4 등 4개 시내버스는 국민의힘 대구시당 인근 버스 정류장을 정오부터 오후 4시까지 무정차 통과했다.

이날 오후 3시까지 수성경찰서 112상황실에 접수된 집회 관련 교통 불편 신고는 모두 5건이다. 수성경찰서 관계자는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300명의 경찰관을 현장에 배치했다"고 밝혔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