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마트 맥주값보다 식당이 더 올리네…물가지수 1년 새 10.5% 상승

"세금 인상, 물가상승 시발점 될 수도"…정부, 종량세 물가연동제 재검토 계획

19일 서울 한 대형마트 주류코너에서 시민들이 쇼핑하고 있다. 이날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해 맥주와 소주 등 술값이 줄줄이 인상되면서 주류 가격은 전년 대비 5.7% 상승했다. 이는 외환위기 직후인 1998년의 11.5% 이후 24년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연합뉴스
19일 서울 한 대형마트 주류코너에서 시민들이 쇼핑하고 있다. 이날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해 맥주와 소주 등 술값이 줄줄이 인상되면서 주류 가격은 전년 대비 5.7% 상승했다. 이는 외환위기 직후인 1998년의 11.5% 이후 24년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연합뉴스

편의점·마트 등에서 판매하는 맥줏값이 오르는 폭보다 식당 맥줏값이 더 많이 오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달 외식 품목 중 맥주의 물가지수는 112.63으로 1년 전보다 10.5% 올랐다. 이는 2020년 개편한 소비자물가지수 기준치(100)보다도 높다.

특히 가공식품 맥주 가격 상승률 5.9%보다 큰 폭으로 오른 수치다. 외식 품목으로 판매하는 맥주 물가가 편의점·마트 등에서 판매하는 것보다 더 많이 상승한 것이다.

맥줏값뿐만 아니라 소주, 막걸리 등 다른 주류도 마찬가지 상황이다. 소줏값은 외식 품목이 11.2% 올라 가공식품 상승률(8.6%)보다 높았다. 막걸리도 외식 품목 상승률이 5.1%로 가공식품 상승률(1.6%)을 웃돌았다.

인건비 등 식당을 운영하는 부대 비용도 식당 주류 가격의 인상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천소라 한국개발연구원(KDI) 경제전망실 총괄은 "외식 쪽에서 소주·막걸리 등의 가격 인상은 원자재 비용 더하기 인건비 등 식당 자체를 운영하는 비용들도 포함됐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연쇄적 물가 상승 요인을 차단하고자 맥주·탁주 종량세 물가연동제 재검토에 나설 계획이다.

종량세는 가격이 아닌 주류의 양 등에 비례해 과세하는 제도이다. 맥주·탁주 등에 대한 세금은 매년 소비자물가 상승률과 연동해 인상돼 왔다.

주세가 인상될 경우 주류 업체의 출고가 인상 명분이 되고, 이로 인해 물가 상승의 시발점이 될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최근 기자 간담회에서 "예를 들어 종량세만을 이유로 맥주 가격이 15원 정도 상승 요인이 있다고 할 때 맥주 가격을 1천 원에서 1천15원으로만 하느냐. 오히려 시중 소비자가격을 더욱 편승·인상하는 기저가 될 수 있다"면서 "물가 연동으로 (과세)하는 부분에 관해서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