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정부, 반복되는 전통시장 화재에 5월까지 방지책 마련

전통시장 화재 재난원인조사반 운영

6일 오전 인천시 동구 현대시장이 화재로 검게 타 있다. 이곳에서는 지난 4일 오후 방화로 큰불이 나 2시간 50분 만에 진화됐으나 점포 205곳 중 47곳이 불에 탔다. 연합뉴스
6일 오전 인천시 동구 현대시장이 화재로 검게 타 있다. 이곳에서는 지난 4일 오후 방화로 큰불이 나 2시간 50분 만에 진화됐으나 점포 205곳 중 47곳이 불에 탔다. 연합뉴스

정부가 전통시장 화재가 잇따르자 5월 말까지 재발 방지대책을 마련하기로 했다.

행정안전부는 전통시장 화재 재난원인조사반을 구성해 15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첫 회의를 열고 전통시장 화재 특성과 향후 조사반 운영 계획을 논의한다고 14일 밝혔다.

조사반은 정기신 세명대 소방방재학과 교수를 반장으로, 민간 전문가 6명과 행안부·산업부·중기부·소방청·국립재난안전연구원 과장급 5명 등 총 13명으로 구성되며 약 3개월간 운영된다.

조사반은 2주마다 회의를 열고 전통시장 화재 안전 관련 기존 제도의 실효성을 검토하는 한편 관계부처와 협업해 재발 방지대책을 5월 말까지 만들 계획이다.

조사반은 화재 당시 작성된 화재현장조사서를 기초로 최근 10년간 발생한 주요 전통시장 화재의 원인을 분석하고 관계부처의 화재 안전관리 대책을 살펴볼 예정이다.

또한 화재가 발생한 전통시장 현장을 방문해 시장 상인회, 자치단체, 소방 관서의 의견을 들어 화재 취약요인과 화재 진압 시 문제점 등을 분석한다.

정기신 세명대 교수는 "전통시장 화재 예방을 위해 소방서와 지자체가 정기적으로 안전점검을 하지만 매년 50여건의 화재가 반복적으로 발생한다"면서 "이번 재난원인조사로 사후약방문식의 대책이 아닌 근본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