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은 10일 미국 정보기관의 국가안보실 도·감청 논란과 관련, '졸속 이전' 등 용산 대통령실의 보안 취약성 지적에 대해 "청와대보다 오히려 여기(용산 대통령실)가 더 안전하다"고 밝혔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가진 브리핑에서 "청와대 시절의 벙커라든지 구조물은 반쯤 지상으로 약간 돌출돼 있기 때문에 대통령이 근무하는 곳의 보안이라든지 안전은 오히려 여기가 더 안전하다"고 강조했다.
'더불어민주당의 대통령실 (보안 관련) 장비 확인 필요성 주장'과 관련해선, "야당의 주장에 대해서는 늘 귀를 열고 받아들일 부분은 받아들이겠지만, 이번 사안과 관련해 나오는 주장들은 팩트와 먼 것들이 너무 많다"고 말했다.
이어 "대통령실 청사 보안 문제는 이전할 때부터 완벽하게 준비했고, 지금도 구체적으로 말씀드릴 수는 없지만 정기적으로 점검이 이뤄지고 있으며 그동안 아무 문제가 없었다"고 부연했다.
이와 관련, '용산 청사 도·감청 가능 여부 자체 보안 점검 계획'을 묻는 질문엔 "계획이 아니라 이미 해 왔고, 지금도 하고 있다"고 답했다.
'완벽하게 준비돼 있다는 도·감청 보안시설이 청사 이전 때 다 설치된 건지, 또 청와대보다 더 강화된 게 있는지'를 묻는 물음엔 "도·감청 관련 상식적인 방지 장치들은 물론 그 이상 시설이 가동됐다"며 "NSC(국가안전보장회의) 대화 유출 우려와 의문이 제기되는데, NSC의 보안·안전은 청와대보다는 용산이 훨씬 더 탄탄하다"고 강조했다.
'국정원도 파악을 못하고 있었다'는 민주당의 주장엔 "그건 민주당의 주장"이라고 일축했다.
한편, 대통령실은 이번 도·감청 논란과 관련, "상황을 한 번 정리할 필요가 있다"며 4가지 쟁점으로 정리했다.
먼저, "사실 관계 파악이 가장 우선"이라며 "지금 미국 언론에서 보도된 내용은 확정된 사실이 아니다. 미국 국방부도 법무부에 조사를 요청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또 이번 보도가 나온 상황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유출됐다고 주장하는 자료 대부분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관련된 내용"이라며 "미국에서는 유출된 자료 일부가 수정되거나 조작됐을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특정 세력의 의도가 개입됐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것"이라고 했다.
상황 파악 후 미국 측에 요청할 것은 요청하겠다는 입장도 밝혔다. 그는 "양국의 상황 파악이 끝나면 필요할 경우 미국 측에 합당한 조치를 요청할 계획"이라며 "이런 과정은 한미동맹 간에 형성된 신뢰관계를 바탕으로 이뤄질 것"이라고 밝혔다.
마지막으로, "한미 정상회담을 앞둔 시점에서 이번 사건을 과장하거나 왜곡해 동맹관계를 흔들려는 세력이 있다면 많은 국민들로부터 저항을 받게 될 것"이라며 경고의 메시지도 던졌다.
'대화 유출 의혹을 받고 있는 당사자들에게 대화 사실 여부를 확인해봤느냐'는 질문에 대통령실 관계자는 "이번 사안은 외교 사안이고, 정보 사안"이라며 "외교·정보 사안은 구체적으로 확인해드리지 않는 게 관례"라고 답했다.
또 '도·감청 관련해 미국 측에 성의 있는 답변이나 조치 요구 등 전달한 게 있느냐'는 물음엔 "이번 사안이 한미 간에도 있지만 이스라엘, 프랑스, 영국 등 여러 나라가 연관돼 있다"며 "우리나라 말고 다른 나라들이 어떻게 대응하고 있는지도 한번 살펴보면 괜찮을 것"이라며 즉답을 피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