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원희룡 "대구 미분양, 지역 수요 무시한 과잉 공급이 문제"

"인위적 미분양 개입 없다" 정부 입장 재확인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이 16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영국의 기체 제작사 버티컬 에어로스페이스의 스티븐 피츠패트릭(Stephen Fitzpatrick) CEO, 장성욱 카카오모빌리티의 부사장과 만나 UAM 상용화 비전과 실증사업 협력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연합뉴스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이 16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영국의 기체 제작사 버티컬 에어로스페이스의 스티븐 피츠패트릭(Stephen Fitzpatrick) CEO, 장성욱 카카오모빌리티의 부사장과 만나 UAM 상용화 비전과 실증사업 협력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연합뉴스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은 16일 대구 지역의 미분양 문제와 관련해 "지역 수요를 무시한 과잉 공급이 이뤄진 게 기본적 문제"라고 밝혔다.

미분양 문제에 대해선 정부의 인위적인 개입은 없을 것이라는 방침도 재확인했다.

원 장관은 이날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미분양은 대구, 충청도 지역이 (상대적으로) 많고 다른 지역은 의미 있는 만큼 미분양이 늘지는 않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원 장관은 "대구는 대부분 정비사업 물량이고 지역 수요를 무시한 과잉 공급이 이뤄진 게 기본적 문제"라며 "공급 속도를 조절해 시간 두고 해소할 수밖에 없는데 해당 건설사 대부분 시공순위 10위 내 기업들이어서 충분히 버틸 만하다"고 설명했다.

지난 3월 말 기준 대구 미분양 주택은 1만3천여가구로 전국의 18%를 차지해 가장 많다.

7만2천여가구인 전국 미분양 물량에 대해서도 "부동산 시장 전체에 충격을 주고, 금융기관 일부에 충격을 주고, 건설회사 현금흐름에 경색을 유발하는 움직임은 3∼4개월 내로는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원 장관은 "미분양 해소를 위한 정부 개입은 하지 않을 것"이라며 "분양가를 낮추거나 등록임대로 전환하는 (건설사의) 자구노력이 우선이 돼야 하며, 이를 통해 미분양 상당 부분이 해소될 수 있다"고 말했다.

다만 지방 하도급업체에 대해선 금융문제 탓에 극한 상황에 몰리지 않도록 유동성을 충분히 공급하겠다고 강조했다.

원 장관은 "금융 관리가 필요한 사업장, 비금융 차원에서 관리해야 할 사업장의 리스트를 다 뽑았다"며 "관리를 해서 살릴지, 시장의 정리 절차에 맡길지 최종 결론이 난 것은 아니지만 금융당국과 실물당국이 전수조사한 자료를 놓고 미세한 대응을 해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