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은 16일 대구 지역의 미분양 문제와 관련해 "지역 수요를 무시한 과잉 공급이 이뤄진 게 기본적 문제"라고 밝혔다.
미분양 문제에 대해선 정부의 인위적인 개입은 없을 것이라는 방침도 재확인했다.
원 장관은 이날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미분양은 대구, 충청도 지역이 (상대적으로) 많고 다른 지역은 의미 있는 만큼 미분양이 늘지는 않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원 장관은 "대구는 대부분 정비사업 물량이고 지역 수요를 무시한 과잉 공급이 이뤄진 게 기본적 문제"라며 "공급 속도를 조절해 시간 두고 해소할 수밖에 없는데 해당 건설사 대부분 시공순위 10위 내 기업들이어서 충분히 버틸 만하다"고 설명했다.
지난 3월 말 기준 대구 미분양 주택은 1만3천여가구로 전국의 18%를 차지해 가장 많다.
7만2천여가구인 전국 미분양 물량에 대해서도 "부동산 시장 전체에 충격을 주고, 금융기관 일부에 충격을 주고, 건설회사 현금흐름에 경색을 유발하는 움직임은 3∼4개월 내로는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원 장관은 "미분양 해소를 위한 정부 개입은 하지 않을 것"이라며 "분양가를 낮추거나 등록임대로 전환하는 (건설사의) 자구노력이 우선이 돼야 하며, 이를 통해 미분양 상당 부분이 해소될 수 있다"고 말했다.
다만 지방 하도급업체에 대해선 금융문제 탓에 극한 상황에 몰리지 않도록 유동성을 충분히 공급하겠다고 강조했다.
원 장관은 "금융 관리가 필요한 사업장, 비금융 차원에서 관리해야 할 사업장의 리스트를 다 뽑았다"며 "관리를 해서 살릴지, 시장의 정리 절차에 맡길지 최종 결론이 난 것은 아니지만 금융당국과 실물당국이 전수조사한 자료를 놓고 미세한 대응을 해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댓글 많은 뉴스
국힘 "李정부, 전 국민 현금 살포 위해 국방예산 905억 삭감"
[매일희평] 무용지물 된다 한들
'전기·물' 생명줄 모두 갖춘 TK…'첨단산업 허브'로 리셋하라
[시각과 전망-임상준] 이철우 경북지사의 멸사봉공(滅私奉公)
李 "악성채무 탕감이 도덕적 해이? 탕감 기대하고 신불자로 살 사람 있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