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시대위원회 출범으로 균형 발전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는 가운데 수도권 쏠림 심화에 대한 견제책으로 영호남 지역을 아우르는 새 경제권을 형성하자는 제안이 나왔다.
박양호 대구정책연구원장은 21일 오후 동구 신천동 대구정책연구원에서 열린 '지방시대와 산업 재배치 심포지엄'에서 "지난해 전국 인구의 50.5%, 100대 기업 본사의 86%가 수도권에 몰려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에서 다른 지역으로 순유출된 인구 88.5%도 수도권으로 빠져나갔다"면서 "이런 현상을 견제하기 위해 '남부 거대 경제권'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남부 거대 경제권과 대구'라는 주제로 기조 강연에 나선 박 원장은 국토 균형 발전을 이루기 위해 대구, 부산, 울산, 광주와 경북, 경남, 전남, 전북, 제주도까지 아우르는 거대 경제권을 구축하자고 제안했다.
그는 대구경북 신공항 건설 등을 계기로 대구 지역에서 100조원 규모의 건설·산업 부문 신규 투자가 발생하면 전국적인 경제적 파급 효과가 일어날 거라 내다봤다. 생산 유발 효과는 ▷대구 125조원 ▷남부 경제권 162조원 ▷전국 208조원, 부가가치 유발 효과는 ▷대구 46조원 ▷남부 경제권 58조원 ▷전국 76조원으로 추산했다.
박 원장은 "'지방시대'와 국토 균형 발전을 위해 산업 재배치가 필요하다. 동서 교통 축인 대구~광주 달빛고속철도와 대구경북 신공항이 2030년 동시 개통하면 시너지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면서 "대구경북 신공항을 물류·여객 복합 공항으로 차질 없이 개항하고, 신공항 경제권을 첨단 도시로 개발해 대구가 새 경제권 형성을 주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심포지엄은 지난 14일 지방시대위원회의 '지방시대' 선포에 따라 국토 균형 발전과 산업 재배치 전략을 논의하기 위한 자리다. 대구정책연구원과 한국지역학회, 한국산업단지공단 산업입지연구소가 공동 개최했다.
조혜영 한국산업단지공단 부이사장은 "물가 상승 압박과 경기 침체 장기화, 미중 갈등 등으로 국내외 경제 환경이 매우 엄중한 시기"라며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한 기존 방식의 유효성에 의문을 가지고 새로운 대안을 찾아 나서야 한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경북대 '반한집회'에 뒷문 진입한 한동훈…"정치 참 어렵다"
한동훈, 조기대선 실시되면 "차기 대선은 보수가 가장 이기기 쉬운 선거될 것"
유승민 "박근혜와 오해 풀고싶어…'배신자 프레임' 동의 안 해"
"尹 만세"…유인물 뿌리고 분신한 尹 대통령 지지자, 숨져
법학자들 "내란죄 불분명…국민 납득 가능한 판결문 나와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