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응급실 중독환자 67%는 자살·자해 등 '의도적 중독'

질병청 '응급실 기반 중독 심층 실태조사' 결과 발표… 치료약물, 가스류 등 순

응급실. 클립아트코리아 이미지
응급실. 클립아트코리아 이미지

응급실을 찾은 중독환자의 3분의 2는 자살이나 자해 목적 등 의도적으로 독성물질에 노출된 환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청은 지난해 6월부터 1년간 14개 시·도 15개 응급의료기관 응급실 내원 환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응급실 기반 중독 심층 실태조사' 1차년도 보고서를 27일 공개했다.

질병청은 국내 중독환자가 연간 10만 명 정도로 발생하고, 총 진료비는 578억원(2021년 기준)에 달하는 등 중독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부담이 커지면서, 관련 정책 수립의 근거를 마련하고자 이번 조사를 실시했다.

조사 기간 15개 응급실을 찾은 중독환자는 모두 5천997명이다. 절반 가까이(45.8%)가 중증 중독이었고, 102명(1.7%)은 사망했다.

중독환자는 여성(56.2%)이 남성보다 많았다. 연령별로는 ▷20대(19.0%) ▷70대 이상(14.5%) ▷40대(14.4%) ▷50대(14.0%) 순이었다.

주요 노출 물질은 진통제, 진정제, 수면제 등 '치료 약물'이 51.5%로 가장 많았고, 가스류(13.7%), 인공독성물질(11.9%) 등이 뒤를 이었다.

10대에선 '치료약물' 중독 비율이 80.0%로 특히 높았다. 60대에선 치료 약물(33.4%) 다음으로 벌, 독버섯 등으로 인한 자연 독성물질(24.7%) 중독 비율이 높았다.

중독 발생 이유로는 의도적 중독이 67.2%로 가장 많았다. 의도적 중독엔 자살이나 자해 목적 중독(전체 중독의 60.7%)과 더불어 의도적인 약물 오용과 과용 등도 포함된다.

사고나 작업장 중독 등 '비의도적' 중독은 32.1%, 이유를 알 수 없는 사례는 0.7%로 집계됐다.

비의도적 중독의 경우 ▷일산화탄소(19.3%) ▷벌 쏘임(18.5%) ▷기타 및 미상의 동물에 물림·쏘임(7.8%) 등의 순으로 빈도가 높았다.

질병청은 "이번 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대상별 맞춤형 예방사업을 추진할 것"이라며 "치료 약물 중독에 취약한 청소년을 대상으로 중독 질환 예방교육을 지난달부터 시작했으며, 향후 소아·노인 등에 대한 예방 사업도 벌일 것"이라고 밝혔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