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2차전지 대기업들 “투자할 땅이 없다" 탄식…포항 일대 산단 공급 속도 내야

대기업 등 3곳 넘는 기업 "경북에 2차전지 투자 의향, 항만 인접 부지 원해"
포항 2차전지 특화단지 지정된 일대 산단, 투자 러시에 남은 용지 단 10만㎡
기업들 "일반산단 조성하면 이른 시일 내 입주" 포항시 "땅값 너무 올라 부담, 다양한 방식 모색 중"

경북 포항시가 2차전지 산업을 통한
경북 포항시가 2차전지 산업을 통한 '제2의 영일만 기적'을 꿈꾸고 있다. 사진은 현재 블루밸리 국가산단에 조성 중인 포스코케미칼 인조흑연 음극재 생산공장. 포항시 제공

2차전지 분야 투자를 희망하는 국내 대기업들이 광물 수입에 유리한 항만도시 포항에 '러브콜'을 보내고 있지만, 정작 이를 품을 산업단지 용지가 부족해 목만 길게 빼고 기다리고 있다. 산단 조성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10일 산업계에 따르면 올해 들어 국내 대기업 3곳이 경북도내 2차전지 분야 투자유치 의향을 나타냈다. 원자재 공급 및 가공, 소재 부품 생산 등 다양한 분야로 알려졌다.

특히 포항에 관심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항만에서 선적 화물로 광물을 수입하자마자 단거리로 수송해 운임을 줄이고, 일대에 형성된 2차전지 생태계와 연계해 생산 즉시 공급 또는 수출 가능해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어서다.

지난달 서울 모처에서 경북도와 투자유치 면담을 한 대기업 계열사 A사 대표는 "2차전지 기반이 탄탄한 경북에 2차전지 소재 관련 투자를 할 의향이 있다. 호주 등 주요 광물 산지에서 이를 쉽게 들여올 수 있는 항만 인접 부지가 필요하다"는 뜻을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포항 블루밸리산업단지 조감도. 경북도 제공
포항 블루밸리산업단지 조감도. 경북도 제공

경북도에 따르면 이처럼 항만 일대 대규모 용지를 물색 중인 기업만 대기업을 포함해 3곳이 넘는다. 용지 수요도 최소 100만㎡(약 30만평)에 이른다.

그러나 현재 포항에는 2차전지 기업이 입주할 산단 용지가 사실상 고갈돼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최근 2차전지 특화단지로 지정된 포항 영일만일반산단·블루밸리국가산단 일대 1천144만㎡ 부지는 에코프로와 포스코퓨처엠 주변으로 수많은 기업이 투자 러시에 나선 영향에 현재 자투리 땅을 모두 끌어모아도 단 10만㎡ 규모 용지만 남았다. 블루밸리국가산단 1단계 부지가 완판됐고 영일만4산단도 분양률 97%를 넘기며 용지가 고갈됐다.

투자를 희망하는 기업들은 포항시가 2차전지 특화단지 일대에 대규모 일반산단을 추가 조성해 주기를 바라는 눈치다.

국가산단은 정부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해야 하는 등 착수 및 조성 절차가 복잡해 준공까지 오랜 시일이 걸리지만, 일반산단은 승인 주체가 경북도여서 이른 시일 내 준공, 입주할 수 있다는 이유다.

포항 블루밸리 국가산단 안에 위치한 포스코케미칼 음극재공장. 매일신문DB
포항 블루밸리 국가산단 안에 위치한 포스코케미칼 음극재공장. 매일신문DB

포항시는 고민에 직면해 있다. 현 2차전지 특화단지 일대 용지 지가가 오를 대로 오른 탓에 일반산단을 추가 조성하기에는 비용 부담이 크기 때문이다. 특히 2차전지는 여타 산업에 비해 물과 전기가 2~3배 더 들어 기초단체 차원에서는 인프라 조성 부담이 너무 크다는 입장이다.

민간사업자가 시행하는 일반산단에 국가전략산업 미래를 걸기에는 불안감이 있다는 것도 이유로 꼽는다.

이에 포항시는 시간이 더디더라도 국가산단과 일반산단 등 여러 가지 대안을 놓고 해법을 고심 중이다.

포항시는 현재 7억원을 들여 신산업 개발전략 수립 용역을 진행하고 있다. 내년 3월쯤 결과를 받는 대로 역내 산단 조성 계획 등을 추가 수립할 방침이다. 장기적으로 5천만㎡(1천500만평) 부지를 산단으로 지정한다는 목표다.

이와 관련 경북도 관계자는 "기업과 지자체의 입장을 모두 만족할 최선의 결론이 나기를 바란다"며 "경북도 또한 지역을 넘어 국가 경제발전을 이끌 지역 2차전지 산업의 기반을 키우고자 투자유치 등에 힘쓸 것"이라고 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