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엔화 가치가 33년 만에 최저치로 떨어지면서 포스코 등 국내 철강업계의 근심이 커지고 있다. 올해 부진을 면치 못했던 국내 철강업계로서는 일본산 철강 제품이 가격 경쟁력마저 갖추면 내년에도 의미 있는 회복세를 보이기 어려워서다.
심지어 포스코, 현대제철 등 지역 철강업체에서는 건설경기 둔화와 원자재 값 상승, 탄소 중립실현 등에 따른 무역장벽, 자동차 및 선박 시장 악화 등으로 내년 업황이 올해보다 더 어두울 것으로 내다본다.
22일 한국철강협회 자료에 따르면 올 상반기 한국이 수입한 철강재는 830만톤(t)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0% 이상 증가했다. 특히 중국과 일본에서의 철강재 수입이 각각 37%, 8% 늘었다. 제품별로는 판재류 수입이 488만t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4.6%나 늘었다. 봉형강류는 193만t으로 전년대비 4.9% 증가했다.
일본 철강제품은 품질이 우수하면서도 엔저로 가격까지 떨어져 철강재를 많이 취급하는 업체의 취급량도 증가세다. 이는 국내 시장 상황을 더 악화시킬 것이라는 지적이다. 제품생산에 드는 비용은 늘고 있지만, 일본산 제품 가격 하락 탓에 완제품 시장에서 가격경쟁력을 갖추려면 덩달아 값을 낮춰야 한다는 것.
실제로 열연강판은 올 상반기만 해도 1t당 100만원 수준이었지만 현재는 90만원대로 가격이 내려갔다. 같은 기간 철근도 1t당 100만원에서 80만원 후반으로 내려앉았다. 스테인리스강도 엔저 현상에 따라 10%가량 가격이 하락한 1t당 400만원에 거래되고 있다.
주요 철강사의 올 3분기에도 실적 하락이 뚜렷하다. 당장 포스코는 올 3분기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3.3% 증가한 1조1천960억원 영업이익을 올렸지만, 지난해 9월 태풍 힌남노 피해를 고려하면 사실상 영업이익은 반 토막이다. 현대제철도 글로벌 철강 시황 둔화로 인한 판매량 감소와 제품가격 하락으로, 올 3분기 실적은 2천284억원으로 전년보다 38.8% 줄었다.
문제는 내년이다. 세계철강협회는 지난달 발표한 자료에서 "자동차를 제외한 제조업의 전반적인 약세로 회복 속도는 미미한 수준에 그칠 것"이라고 전망했다. 올해 부진한 모습을 보였던 건설, 조선, 가전 등 주요 철강 수요산업에 기대감이 크지 않아 성장세를 기대하긴 어렵다.
역대급 엔저가 계속된다면 포스코 수익의 효자상품인 전기강판, 스테인리스강 등 고급강 수요가 일본산 제품에 밀려 내년 실적에도 적신호가 켜질 수밖에 없다.
추지미 포스코경영연구원 수석연구원도 "엔저를 호기로 삼은 일본 철강업계가 물량 공세에 본격적으로 나서고, 이에 중국이 가격을 더 낮춰 덤핑 수준으로 대응한다면 국내 철강업계가 큰 어려움에 부닥칠 수 있다. 내년 일본과 중국에서 철강재 수입이 더 늘어날 수 있다는 점에서 전후방 산업의 협력방안 마련이 절실하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경북대 '반한집회'에 뒷문 진입한 한동훈…"정치 참 어렵다"
'전한길뉴스' 출범하자마자 홈페이지 마비…보수층 대안 언론 기대
유승민 "박근혜와 오해 풀고싶어…'배신자 프레임' 동의 안 해"
野 의원들, '계란 투척' 봉변…경찰, 헌재 시위대 해산 시도
"尹 만세"…유인물 뿌리고 분신한 尹 대통령 지지자, 숨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