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천500년 전 세상을 떠난 신라 공주 무덤으로 추정되는 경주 쪽샘 44호분을 다시 짓는 실험이 시작된다.
22일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는 "오는 29일 쪽샘유적발굴관에서 '경주 쪽샘 44호분 축조 실험 착수 보고회'를 열고 일부 과정을 시연한다"고 밝혔다.
쪽샘 44호 무덤은 신라 왕족인 어린 여성이 묻힌 것으로 추정된다. 연구소는 4~6세기 신라 왕족과 귀족 등 상류층이 주로 묻혔을 것이라고 여겨지는 쪽샘지구 일대를 조사하던 중 정확한 위치를 확인했고, 2014년부터 최근까지 약 10년간 발굴조사를 진행했다.
무덤에선 금동관, 금동 신발, 금 드리개, 돌절구와 공이(물건을 찧거나 빻는 기구), 바둑돌, 비단벌레의 날개를 겹쳐 만든 장식 등이 나와 학계의 주목을 받았다.
연구소는 발굴이 끝난 44호 무덤이 있는 자리에서 무덤 축조 실험에 나선다. 나무로 짠 곽 주변에 돌을 쌓은 뒤 봉분을 조성하는 신라 특유의 무덤인 돌무지덧널무덤을 만드는 과정을 약 2년에 걸쳐 재현할 계획이다.
무덤 축조는 땅을 평평하게 고르고 고운 흙을 깔아 묘역을 마련하는 1단계, 나무기둥과 끈을 이용해 봉분 범위를 표시하는 2단계, 돌무지의 기초 시설인 나무 기둥을 세워 본격적으로 무덤을 만드는 3단계, 주인공과 부장품을 넣을 덧널을 만들기 전 묘광(墓壙‧땅을 파서 만든 구덩이)을 설치하는 4단계로 진행한다.
이날은 무덤을 본격적으로 만들기 전 수십 점의 토기를 깨뜨려 흩뿌리는 의례도 일부 시연한다.
참가를 희망하는 이들은 22, 23일 이틀간 전화(054-622-1702)로 신청하면 참가할 수 있다. 정원은 70명이다.
연구소 관계자는 "총 21단계에 이르는 무덤 축조 과정 가운데 시신과 부장품을 안치하는 단계인 11단계까지 고분을 다시 만들어 볼 예정"이라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경북대 '반한집회'에 뒷문 진입한 한동훈…"정치 참 어렵다"
한동훈, 조기대선 실시되면 "차기 대선은 보수가 가장 이기기 쉬운 선거될 것"
법학자들 "내란죄 불분명…국민 납득 가능한 판결문 나와야"
전한길 "이재명, '민감국가 지정' 핵무장론 탓? '가짜뉴스'…반박해 보라" [뉴스캐비닛]
尹 탄핵 선고 임박했나…법조계 "단심제 오판은 안 된다" 우려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