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도 대구시 노인일자리 지원사업 규모가 커지고, 참여 인원도 25% 늘어난다.
대구시는 '2024년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지원사업'에 지난해 대비 492억원 증액한 1천675억원을 투입한다고 밝혔다. 모집 규모는 지난해 대비 25%(7천707명) 증가한 3만7천626명이다.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지원 사업'은 어르신들이 활기차고 건강한 노후생활을 할 수 있도록 일자리 및 사회참여를 지원하는 사업으로 소득수준, 활동역량, 경력 등을 고려해 공공형, 사회서비스형, 시장형, 취업알선형 4가지 유형으로 진행된다.
'공공형 일자리'는 65세 이상 기초연금 수급자를 대상으로 한다. 지역사회 환경개선, 노노케어, 스쿨존 교통봉사, 학교급식봉사, 청소년 선도봉사 등 지역사회 공익증진 등이 활동 영역이다. 참여자들은 평균 11개월 동안 월 30시간 일하고 29만 원을 지급 받는다.
'사회서비스형 일자리'는 65세 이상 은퇴자 및 경력자 등이 대상이다. 일부 사업은 60세 이상도 신청이 가능하다. 참여자들은 10개월 간 월 60시간 활동을 통해 많게는 76만 원을 받는다. 이들은 보육·돌봄·청소년시설 지원, 취약계층 전문서비스 지원, 공공 전문서비스 지원 등의 활동에 참여할 예정이다.
'시장형 및 취업알선형 일자리'는 60세 이상 어르신이 소규모 매장 및 전문 직종 사업단 등을 공동으로 운영하거나 어르신 일자리 제공기관에 취업할 수 있도록 연계해 주는 프로그램이다.
대구시는 내년도 노인일자리 사업에 유형별로 ▷공익형 2만7천301명 ▷사회서비스형 7천294명 ▷시장형 1천950명 ▷취업알선형 1천81명 등 총 3만7천626명을 모집한다. 어르신들의 전문성과 역량, 경력을 발휘할 수 있는 '사회서비스형', '시장형', '취업알선형' 등 세 유형 일자리 참가자를 지난해 보다 4천300명 더 모집하는 게 특징이다.
참여를 희망하는 어르신은 다음달 4일부터 구·군 노인일자리 담당부서나 시니어클럽 등 노인일자리 수행기관에 방문해 신분증, 주민등록등본 등 구비서류를 제출하면 된다. 구·군별로 접수기간이 다르니 확인이 필요하다.
온라인 창구 '노인일자리 여기'와 '복지로'를 통해서도 참여 신청이 가능하나, 수행기관에 필수 방문해 개별면접 절차를 거쳐야 한다. 최종 선발여부는 접수기관을 통해서 내년 1월 2일까지 개별 통보된다.
국민기초생활 수급자 중 생계급여 수급자, 정부부처 및 지자체 일자리 참여자, 국민건강보험 직장가입자, 장기요양보험 수급자 등은 참여할 수 없다.
대구시는 저소득 노인의 동절기 소득 공백 완화를 위해 사업을 조기 착수하되 동절기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활동시간 조정 등 탄력운영제를 실시한다. 또 어르신에게 적합한 사업장 창업과 맞춤형 교육에도 추가로 2억 원을 들여 어르신의 취·창업을 지원할 계획이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노인일자리는 노년기 소득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동년배 간의 교류 및 사회참여 기회가 되어 노인문제 예방에도 큰 의미가 있다"며, "앞으로도 어르신의 연륜과 역량을 지역사회와 공유할 수 있는 다양한 일자리를 발굴하는 데 적극 노력하겠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경북대 '반한집회'에 뒷문 진입한 한동훈…"정치 참 어렵다"
한동훈, 조기대선 실시되면 "차기 대선은 보수가 가장 이기기 쉬운 선거될 것"
유승민 "박근혜와 오해 풀고싶어…'배신자 프레임' 동의 안 해"
"尹 만세"…유인물 뿌리고 분신한 尹 대통령 지지자, 숨져
野 의원들, '계란 투척' 봉변…경찰, 헌재 시위대 해산 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