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나도 일할래요' 65세 이상 고령자 5명 중 1명 구직 활동 나서

고용정보원, 통계청 자료분석…절반이 일자리 원해

서울 마포구 서울서부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 설치된 일자리 정보 게시판의 모습. 연합뉴스
서울 마포구 서울서부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 설치된 일자리 정보 게시판의 모습. 연합뉴스

최근 1년간 65세 이상 고령자 5명 중 1명은 구직 활동에 나섰던 것으로 나타났다. 65~79세 고령자 가운데 절반 이상이 일자리를 원하고 있었다.

3일 한국고용정보원의 고용동향브리프 '고령 인구의 경제활동과 노후 준비'에 따르면 지난 5월 이뤄진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고령층 부가조사에서 '계속근로'를 희망하는 65∼79세의 비율은 55.7%로 집계됐다.

통계청은 고령층(55∼79세 기준) 부가조사 결과를 발표한다. 이에 강민정 고용정보원 전임연구원은 노인 연령 기준인 65세 이상으로 데이터를 다시 분석했다.

계속 일하고 싶은 65~79세 비율은 지난해 5월 조사(54.8%)에서 보다 0.9%포인트(p)증가햇다. 지난 2013년 43.6% 대비 12.1%p 상승했다.

성별로는 남성과 여성 비율은 각각 65.4%, 47.4%씩 더 근무하고 싶다고 희망했다. 특히 고학력일수록 지속적인 일자리를 원하는 경우가 많았다.

계속 일하고 싶은 이유는 '생활비에 보탬이 되어서·돈이 필요해서'라는 응답이 52.2%로 가장 많다. '건강이 허락하는 한 일하고 싶어서·일하는 즐거움 때문에'라는 응답은 38.0%로 집계됐다.

학력이 낮을수록 경제적 이유로 인해 일을 하려고 하는 노인 비중이 높았다.

실제로 지난 1년 동안 65~79세 고령자 가운데 구직 경험이 있는 비율이 18.6%(5월 기준)에 달했다. 지난해(19.2%) 대비 소폭 감소한 수치지만 10년 전 11.7%보다는 크게 증가했다.

이처럼 일을 하고 싶어하는 고령층이 늘어나면서 경제 활동 참가율도 동반 상승하고 있으나, 노인 일자리 환경은 열악한 상황이다.

고용노동부의 '2022 고용형태별 근로실태조사'에 따르면 60세 이상 비정규직 근로자의 월 총 근로시간은 114.6시간으로 전체 비정규직 근로자 111.7시간보다 많았다. 그러나 시간당 임금총액은 1만6천575원으로, 전체 비정규직(1만7천233원)보다 적었다고 보고서는 전했다.

강 연구원은 "노인 부양의 대상이 될 가능성이 큰 저학력 고령과 후기 고령에 일자리 제공을 통해 소득보전 효과를 제공함으로써 경제적 자립도를 높여줘야 한다"며 신중년 사회공헌활동 지원사업 참여자 연령 확대, 공익형 일자리 적정 수준 유지 등을 제언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