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국민 10명 중 1명 "고독사 할 것"…여성·30대·저소득 등 비관 응답

국민 10명 중 1명이 자신의 고독사 가능성에 대해
국민 10명 중 1명이 자신의 고독사 가능성에 대해 '80% 이상'이라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30대와 월세 거주, 1인 가구, 연인 없는 미혼 응답자의 이같은 응답 비율이 높았다. 게티이미지 뱅크

국민 10명 중 1명이 자신의 고독사 가능성에 대해 '80% 이상'이라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30대와 월세 거주, 1인 가구, 연인 없는 미혼 응답자의 이같은 응답 비율이 높았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최근 전국 만 19세 이상 성인 남녀 1천명을 대상으로 '고독사 대국민 인식 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3일 밝혔다.

해당 조사에 따르면 '고독사의 가능성이 0~100%까지 있다고 할 때, 고독사 가능성이 어느 정도라고 여기느냐'라는 질문에 대한 전체 응답자의 평균은 32.3%였다.

가능성이 20% 미만이라는 응답이 38.9%로 가장 많았고 40~60% 미만 22.3%, 20~40% 미만 20.1%, 60~80% 미만 9.5% 등으로 각각 나타났다. 고독사 가능성이 80% 이상 높다고 응답한 이들도 9.2%에 달했다.

스스로 고독사 가능성이 높다고 응답한 경우는 남성(30.21%)보다 여성(34.35%)에서 높게 나타났다. 연령대별로 보면 30대(39.53%)에서 가장 높았다. 이어 40대(33.16%), 50대(32.01%), 60대 이상(29.84%), 19~29세(29.58%) 순으로 집계됐다.

주거 형태별로도 주관적인 고독사 가능성을 달리 평가했다. 월세일 때가 43.27%로 가장 높았다. 전세(31.22%), 자가(29.12%) 등이 뒤를 이었다. 1인 가구는 고독사할 가능성에 대해 45.05%로 추정했다. 2인 가구 33.84%, 3인 가구 30.72% 4인 이상 가구 25.40% 등보다 높은 수준이다. 홀로 사는 경우 4인 이상 가구일 때와 비교해 2배 수준으로 고독사할 확률이 높다고 봤다.

결혼 형태에 따라서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됐다. 별거·이혼·사별한 응답자가 고독사할 가능성은 45.17%로 나타났다. 또 연인 없는 미혼이 42.80%로 나타났는데 이런 결과는 연인 있는 미혼(33.83%), 기혼(25.94%) 등과 큰 격차였다.

소득이 적은 경우 가능성을 높게 평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일용직 근로자와 월평균 가구소득이 200만원 미만인 경우 고독사 가능성을 41.71%, 44.94%로 각각 점쳤다. 정규직에서는 28.64%, 월평균 600만원 이상 소득자는 25.76%로 나타났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