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준석‧이낙연‧조국·송영길 등 여야 중량급 인사를 중심으로 신당 창당 움직임이 본격화되고 있다. 총선을 앞두고 다당제‧제3지대 실현 가능성에 관심이 쏠리는 모습이다.
4일 정치권에 따르면 잇따른 신당 창당 움직임이 관측되면서 다당제 가능성이 구체화되는 모습이다. 다만 선거제 개혁 방향에 따라 신당 영향력이 결정될 것으로 보고 있다.
선거제도 면에서 기존 지역구 당선이 적을 경우 비례 의석을 보전해주던 연동형 방식이 폐지되고 과거 병립형으로 회귀할 경우, 비례 의석 중심 소수 정당에 불리한 상황이다. 반대로 연동형이 유지될 경우 비례 의석 확보가 수월해지면서 다당제 가능성이 높아질 전망이다.
국민의힘의 경우 이준석 전 대표가 윤석열 대통령 및 지도부와 연일 각을 세우면서 신당 창당에 속도를 내고 있다. 총선 출마 후보 모집까지 시작한 상태다.
일각에서는 이 전 대표가 대구·경북 등 보수 텃밭을 공략하고 수도권 출마에 적극적으로 나설 경우 보수진영 지지층이 양분되면서 선거 결과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의견도 나온다.

아울러 민주당도 이낙연 전 대표와 조국 전 법무부 장관, 송영길 전 대표의 신당 창당설이 흘러나오고 있다.
이 전 대표는 사법리스크를 거론하며 이재명 대표 체제 위기론을 연일 쏟아내는 등 영향력을 드러내고 있다. 덧붙여서 문재인 정부 출신 정세균·김부겸 전 국무총리와의 연대 가능성도 제기된다.
또한 송 전 대표와 조 전 장관은 검찰 수사 등 악연이 있는 윤석열 대통령을 겨냥해 정권 심판론까지 주장하고 있다. 송 전 대표는 조 전 장관과의 신당 연대 가능성도 열어둔 모습이다.
정치권에서는 이들이 당 내 반이재명, 반윤석열 기치를 내걸면서 과거 호남 중심 국민의당과 강성 지지층 중심의 열린민주당 사례를 노릴 가능성도 제기된다. 이외에도 금태섭, 양향자, 용혜인 등 각각 제3지대 연합 가능성도 열려있는 상황이다.
다만 총선이 불과 4개월여 남은 가운데 시간 상 과거 병립형 회귀 가능성이 높아진 모습이다. 연동형이 폐지되면 신당은 지역구 선거에서 결과를 내야 하는데 텃밭 강세 지역구 외에 당선권 경쟁이 가능한 주자를 내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반면 수도권 등 초접전 지역에서는 3·4파전으로 표 분산 시 캐스팅 보트 역할을 맡게 될 가능성도 나온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