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킬러문항' 배제했다는데…수학 6문제 고교 교육과정 벗어나

공통과목 14번·15번·22번, 미적분 28번, 기하 30번 등 포함
사걱세 "교육부 원칙 지켜지지 않아…가장 큰 피해는 학생들"

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일인 지난달 16일 오전 청주고등학교에서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고 있다. 연합뉴스
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일인 지난달 16일 오전 청주고등학교에서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고 있다. 연합뉴스

'킬러문항' 배제를 기조로 치러진 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수학 영역에서 6문항이 고교 교육과정 밖에서 출제됐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더불어민주당 강민정 의원과 강득구 의원, 교육시민단체 사교육걱정없는세상(사걱세)은 6일 오전 국회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2024학년도 수능 수학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총 14명의 현직 교사와 2명의 교육과정 전문가가 참여한 이번 분석은 지난달 17일부터 26일까지 총 10일간 진행했다. 분석이 끝난 후에는 의견을 종합해 3차례 이상 내부 검토 회의를 거쳤다.

사걱세는 이번 수능 수학영역 46개 문항 가운데 6개 문항(13.04%)가 고교 교육과정 범위와 수준을 벗어나 출제됐다고 주장했다.

사걱세가 지적한 문항은 수학 공통과목 14번·15번·22번과 선택과목 확률과 통계에서 30번, 미적분 28번, 기하 30번이다.

이 중 공통 14번은 교과서에서 볼 수 없는 수준의 그래프를 추론해야 하는데 이는 사교육 교재를 통해서 경험할 수 있는 문항이라는 것이다.

공통 15번은 경우를 지나치게 복잡하게 나누는 문제라 경우의수 단원의 교육과정 평가 방법에서 벗어난다고 판단했다.

응시생들 사이에서 논란이 됐던 공통 22번 문항은 대학과정에서 다루는 함수방정식에 준하는 부등식을 제시했는데, 학생들이 주어진 조건을 해석하기엔 극도로 어려웠을 것으로 분석했다.

이밖에 확률과 통계 30번과 기하 30번은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범위와 수준을 벗어났고, 미적분 28번은 교육과정 교수·학습·평가 방법과 유의 사항을 준수하지 않았다고 봤다.

사걱세는 "교육부가 지난 6월 '수능에서 고교 교육과정을 벗어난 킬러문항 출제를 배제하겠다'라는 원칙을 내세웠으나 지켜지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이어 "이번 수능에서도 공교육만으로 대비할 수 없는 고교 교육과정의 범위와 수준을 벗어난 문항이 다수 출제됐다"며 "이 문제의 가장 큰 피해자는 대학입시를 준비하는 수험생과 학부모"라고 부연했다.

그러면서 "수능에서 출제된 교육과정 미준수 문항과 그 출제 근거를 명확하게 공개해야 한다"며 "내년에도 계속될 수능 시험에서는 킬러문항이 단 한 문제도 출제되지 않도록 개선방안과 대안을 마련해 즉시 시행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