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주 월성원전 인근 주민들 "2·3·4호기 수명 30년 연장하라"

인근 주민들 현수막 100여장 내걸어…지역 환경단체는 ‘조기 폐로’ 주장

6일 동경주 지역 곳곳에 월성원전 수명 연장을 요구하는 주민들의 현수막이 걸려 있다. 김도훈 기자
6일 동경주 지역 곳곳에 월성원전 수명 연장을 요구하는 주민들의 현수막이 걸려 있다. 김도훈 기자

경북 경주에서 월성원전 2‧3‧4호기 수명 연장을 두고 찬반 갈등이 고조되고 있다.

6일 오전 경북 경주시 앙남면 행정복지센터 앞. 이곳엔 "월성원전 없는 지역발전 상상할 수 없다", "30년 수명연장 즉각 추진하라", "한수원과 원안위는 계속운전 추진 위한 안전성 평가 즉각 실시하라" 등이 적힌 현수막이 내걸렸다. 감포읍 대본삼거리 인근에도 월성원전 수명 연장을 요구하는 현수막이 눈에 띈다. 그밖에도 감포읍과 문무대왕면, 양남면 거리 곳곳에도 비슷한 내용의 현수막을 쉽게 찾아볼 수 있었다.

이날 동경주 지역에 걸린 현수막은 어림잡아 100장 정도. 동경주 원전사업자협의회. 동경주 미래발전대책위원회, 나아 상가번영회, 나아리 부녀회, 나아리 청년회, 감포읍 이장협의회 등 모두 원전 인근 주민들이 내건 것이다.

이는 최근 경주지역 시민사회단체가 '월성원전 즉각 폐로'를 촉구한데 따른 움직임이다.

최학렬 동경주미래발전대책위원장은 "2020년 지역주민 81.4% 가 찬성해서 추가로 건설한 사용후 핵연료 건식저장시설인 맥스터는 월성 2, 3, 4호기 수명연장을 염두에 둔 결정이었다"며 "하지만 야당의 노골적 탈원전정책과 일부 시민단체의 목소리가 통해 월성 1호기처럼 2·3·4호기도 생매장될 수 있다는 불안감마저 든다"고 했다. 이어 "미우나 고우나 월성원전 없는 동경주 지역 발전은 상상할 수 없다"며 "원전 재가동으로 지역발전과 국가 에너지정책에 일조하는 게 합리적"이라고 말했다.

고하근 감포읍 이장협의회장도 "2019년 월성원전 부지 내에서 삼중수소가 검출된 것과 관련, 어제(5일) '외부 유출은 없었다'는 원자력안전위원회 민간조사단 발표가 있었다"며 "이젠 삼중수소 논란을 끝내고 더 늦기 전에 월성원전 수명연장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고 말했다.

6일 동경주 지역 곳곳에 월성원전 수명 연장을 요구하는 주민들의 현수막이 걸려 있다. 김도훈 기자
6일 동경주 지역 곳곳에 월성원전 수명 연장을 요구하는 주민들의 현수막이 걸려 있다. 김도훈 기자

반면, 지역 환경단체 등으로 구성된 탈핵경주시민공동행동은 지난달 30일 경주지진 발생 직후 성명서를 내고 "월성원전은 부실한 지질 조사에 근거해 건설되었고 내진 설계도 매우 미흡해 오늘 지진이 사고의 불안감을 다시 키우고 있다"며 "정부는 위험한 활성단층에 둘러싸인 월성원전 2‧3‧4호기에 대한 폐로 절차에 착수하라"고 촉구했다.

한국수력원자력에 따르면 월성원전 2‧3‧4호기 설계수명은 각각 2026년 7월, 2027년 7월, 2029년 10월이다. 월성 2‧3‧4호기를 포함해 전국적으로는 2030년까지 총 10기의 원전이 설계수명에 따른 운영허가 종료를 앞두고 있다.

이런 이유로 해당 원전의 안전도 평가를 거쳐 '계속운전'을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계속운전'은 예상 수명에 도달한 원전의 안전성을 평가해 문제가 없을 경우 운전을 계속하는 것을 뜻한다.

한편, 국제원자력기구(IAEA)에 따르면 지금까지 운영 허가 기간이 만료된 전 세계 252기의 원전 중 현재 계속운전 중이거나 계속운전 후 영구 정지된 원전은 233기(92%)에 이른다. 한국수력원자력은 7년 내 운영 허가 기간이 만료되는 10기의 원전을 10년간 계속운전할 경우 107조 6천억원 이상의 에너지 비용이 절감될 것으로 추산한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