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필수의료 해결책 '지역인재전형' 확대?…의료계 "글쎄요"

입시업계 "지역 인재 확보에 효과적…의무조항 둔다면 괜찮을지도"
의대·의료계 "가능성은 있지만 효과는 높지 않을 것"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이 13일 부산 남구 부산광역정신건강복지센터를 방문해 직원들과 간담회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이 13일 부산 남구 부산광역정신건강복지센터를 방문해 직원들과 간담회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지역 의료 인력을 확보할 제도적 장치로 '지역인재전형' 확대 방안을 검토 중인 가운데 지역 의료계를 중심으로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보건복지부는 13일 부산에서 '지역·필수의료 혁신을 위한 지역 순회 간담회'를 열고 지역에서 수련받은 의사들이 해당 지역에 정착할 제도적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지역에서 활동하는 의사 수를 늘려 필수의료 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것이다.

이 자리에서 복지부 관계자는 "지역 의대의 입학 정원 중 일정 비율을 해당 지역 고교 졸업생 가운데 선발하는 '지역인재전형'을 확대하는 방안을 고려 중"이라고 밝혔다.

더불어 복지부는 의대생들이 졸업 후에도 지역에서 수련과 진료를 이어갈 수 있도록 지방자치단체와 지원책도 마련할 방침이다.

대구지역 4개 의대에 따르면 각 학교 별로 정원 당 지역인재전형 비율은 40~50%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 2024학년도 입시의 경우 영남대와 대구가톨릭대가 50%로 가장 높고, 계명대 47.4%, 경북대 46.4% 등으로 파악됐다.

이 같은 지역인재전형 확대 방침을 두고 입시업계와 지역 의료계의 시선은 엇갈리고 있다.

입시업계는 의대 입시 특성 상 타 지역 학생이 도전하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지역 인재들에게 문호를 넓히면 졸업 후에도 지역에 터를 잡을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

차상로 송원학원 진학실장은 "지난해부터 의약학 계열의 지역인재 전형 비율이 40%로 의무화 돼 있는데 80%가 넘는 부산과 달리 대구 지역 의대는 의무 비율만 맞추는 실정"이라며 "지역인재전형 비율을 높이고 졸업 후에도 지역에 남도록 의무 조항까지 갖춘다면 의대 진학을 위해 대구를 떠나는 최상위권 학생들이 줄어들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러나 지역 의료계는 회의적인 시선을 보내고 있다. 가능성은 있지만 실제 졸업 후에도 지역에 남게될지는 의문이라는 것이다.

김희철 계명대 의과대 학장은 "지역인재전형 비율이 80%인 타 지역 대학들도 졸업 후 해당 지역에 남는 경우가 높지 않다는 분석이 있다"면서 "대학과 지역에 인재가 남아있을 가능성은 다소 높아지겠지만 극적인 효과가 있을 지는 미지수"라고 했다.

한편 조규홍 복지부장관은 이날 "지역·필수의료 의사 부족을 해결하려면 의사 인력 확충과 더불어 의사들이 업무에 집중할 여건을 만드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며 "지역·필수의료를 살리기 위한 다양한 정책 대안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