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정부가 정책금융 38조원 가량을 투자하는 '2차전지 전주기 산업경쟁력 강화 방안'을 발표하면서 '2차전지 특화단지'가 위치한 경북 포항의 경제 활성화에 청신호가 켜졌다.
관련 업체들은 이번 발표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면서도 정책금융과 함께 아직 여러가지 제약이 많은 재활용 시장의 규제 완화에 정부의 지속적인 관심이 이뤄지길 기대하고 있다.
정부는 내년부터 2028년까지 2차전지 공급망 안정을 위해 관련 기업에 대출·보증·보험을 확대하고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대응한 북미 시설투자에도 금리·보험료 인하 등을 지원하기로 했다.
특히, IRA에 대한 해법으로 '사용 후 배터리'의 재제조·재사용·재활용 시장이 집중 육성될 전망이다. 핵심 광물의 중국 등 해외 의존도가 절대적인 한국으로서는 재활용을 통한 자원 확보가 필수인 까닭이다.
재제조는 사용한 배터리를 모듈 단위로 해체해 비교적 사용용량이 작은 모빌리티에 다시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쉽게 말해 전기자동차에 쓰였던 배터리를 다시 만들어 골프장 카트 등에 쓰는 방식이다.
재사용은 용량이 떨어진 배터리를 몇개씩 묶어 기업체 등의 전기저장장치로 재탄생 시키는 것이다.
사용 후 배터리를 완전히 분해해 코발트, 니켈, 리튬 등 핵심 광물을 다시 추출하는 것이 재활용이며, 포항이 주목하는 시장이 바로 이 분야이다.
이미 포항은 지난 5일 총 사업비 489억원(국비 459억원)을 들여 '사용 후 배터리 자원순환 클러스터'를 조성하며, 2차전지 재활용·재사용 기업을 유치 중이다.
포항시에 따르면 국내 2차전지 시장은 2030년이면 반도체를 뛰어넘어 1천조원에 육박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중 리사이클링(재제조·재사용·재활용) 시장이 차지하는 금액만 600조원에 이를 것으로 관측된다.
포항지역만 해도 2030년 2차전지 시장이 100조원에 이를 것으로 보이며, 이중 30조원이 양극재를 제외한 리사이클링 등 기타 분야이다.
현재 포항지역에는 총 30여개의 2차전지 관련 기업들이 입주해 있으며, 이중 리사이클링 분야는 에코프로씨앤지, 에너지머트리얼즈, 피엠그로우, 해동E&G, 진성 등 5개 기업이 있다.
에코프로 관계자는 "정부의 2차전지 시장 육성 계획을 정말 환영한다. 이번 지원이 긍정적으로 도움이 될 것이라 보인다"면서 "현재 성장하고 있는 2차전지 시장을 감안했을때 정부의 적극적인 관심이 글로벌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할 원동력이 될 수 있다. 이번 정채금융 지원과 함께 사용 후 배터리 규제 완화 등 다각적인 육성방안이 함께 이뤄지길 기대한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