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모리 분야에서 세계 정상을 달리고 있는 한국과 설계·장비 분야 강대국인 네덜란드가 '반도체 동맹'을 공식화한다. 윤석열 대통령은 13일(현지시간) 네덜란드 마르크 뤼터 총리와 정상회담을 갖고 이 같은 내용의 공동성명을 발표할 예정이다.
김태효 국가안보실 1차장은 12일 암스테르담에 마련된 프레스센터 브리핑에서 "양국은 반도체 분야에서 평시 각별한 협력을 도모하기로 했다"며 "위기 발생 시 즉각적이고 효율적인 반도체 공급망 위기 극복 시나리오를 함께 집행하고 이행해 나가는 동맹 관계를 추진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또 "양국 공동성명에도 긴밀한 협의를 거쳐 '반도체 동맹'이란 용어를 넣었다"고 강조했다.
공동성명에서 반도체 동맹을 명문화함으로써 양국은 공동 이익인 반도체 협력 강화의 목표를 흔들림 없이 추진할 수 있게 됐다. 이를 위해 양국은 당국 간 연례 경제안보 대화를 신설하기로 했다.
양국 산업 당국은 반도체 정책을 조율하기 위한 '반도체 대화'를 설치하고, 핵심 품목 공급망 협력 양해각서(MOU)를 바탕으로 한 공급망 협의체 구성도 추진한다. 김 차장은 "이번 동맹 체결은 상호보완적 구조를 지닌 양국 반도체 공급망 생태계를 더욱 긴밀히 연결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국가 간 외교에서 반도체 동맹을 명문화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는 게 대통령실 설명이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국빈 방문 전부터 국가안보실이 공동성명 문안에 대해 치열한 협상을 벌였고, 네덜란드도 깊은 고민 끝에 반도체 동맹을 공식 명기하기로 결정했다"고 전했다.
앞서 윤 대통령은 12일 외국 정상으로는 처음으로 세계 1위 반도체 장비 기업인 ASML의 '클린룸'을 방문해 차세대 반도체 생산에 쓰이는 극자외선(EUV) 장비 공정을 둘러봤다. 양국 정부와 기업은 이 자리에서 3건의 협력 MOU를 체결했다. 삼성전자와 ASML은 내년부터 1조원 규모 공동 투자를 통해 국내 연구개발(R&D) 센터를 설립하기로 했다.
한편 윤 대통령은 12일 암스테르담 왕궁에서 열린 국빈 만찬에서 "1950년 네덜란드는 공산 세력의 침략으로 대한민국의 국운이 풍전등화의 위기에 놓여 있을 때 한걸음에 달려와 주었다"며 "6·25전쟁에서 120여 명의 네덜란드 장병들이 목숨을 잃었고, 이들의 숭고한 희생과 헌신은 대한민국 자유 민주주의와 번영의 초석이 됐다"고 감사의 뜻을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