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과거시험 답안지' 공개…온전한 형태로 발견

국학진흥원,1447년(세종 29) 문신 정종소 문과 중시 시권(試卷) 확인
영천 영일정씨 호수종택 기탁자료, 이전보다 60년 앞선 것

한국국학진흥원이 영천 영일정씨 호수종택에서 기탁받은 자료에서 국내 현존하는 가장 이른시기의 과거시험 답안지인 정종소 문과 시권 2점을 발견했다. 한국국학진흥원 제공
한국국학진흥원이 영천 영일정씨 호수종택에서 기탁받은 자료에서 국내 현존하는 가장 이른시기의 과거시험 답안지인 정종소 문과 시권 2점을 발견했다. 한국국학진흥원 제공

국내에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과거시험 답안지가 공개됐다.

한국국학진흥원은 18일 조선 세종대인 1447년 문과 중시에 응시해 급제한 문신 정종소(鄭從韶)의 시권(試卷·답안지) 원본 2건을 온전한 형태로 발견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발견된 시권은 보물로 지정된 1507년(중종 2) 충재 권벌(1478~1548)이 작성한 문과 전시(殿試) 시권보다 60년 앞선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임진왜란 이전의 문과 시권은 지금까지 사례가 12건밖에 확인되지 않을 정도로 희소성이 높은 자료로, 원본이 온전한 상태로 보전됐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밝혔다.

정종소의 현손은 임진왜란 당시 의병으로 큰 공을 세운 호수 정세아다. 그의 부친 정문예는 포은 정몽주와 팔촌이다. 이번에 발견된 시권은 바로 정세아의 집안인 경북 영천 영일정씨 호수종택(湖叟宗宅)에서 한국국학진흥원에 기탁한 자료다.

정종소는 본관은 영일이며, 증조대인 고려말 경상도 영천에 입향했다. 다섯 명의 형제가 있었는데 이 중 3명이나 문과에 급제할 정도로 당대에 큰 명성을 얻은 집안이었다.

정종소는 1447년(세종 29) 문과 중시에 응시해 을과 삼등 제1인으로 급제했다. 당시 동기생은 성삼문, 신숙주, 박팽년, 정창손 등 당대 명망 있는 인사들이다.

이들 문집에도 당시 과거시험의 답안 내용이 수록되어 있지만, 실물이 남아 있는 경우는 없다.

한국국학진흥원에 소장된 정종소 문과 시권은 보존상태도 매우 양호해서 내용을 파악하는 데 전혀 무리가 없다.

이 자료는 그간 전혀 알려지지 않았던 15세기 문과 중시의 유일한 실물 사례라는 점에서 그 가치가 매우 높다. 특히 당시 시권의 형태적 특징을 분석할 수 있는 중요한 원본 자료로서도 의미가 있다.

박성호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가 한국국학진흥원 자료를 검토하는 과정에서 발견했고, 내용을 치밀하게 분석해 한국국학진흥원 등재학술지 '국학연구' 52집에 수록했다.

최연숙 한국국학진흥 연구사업팀장은 "최근 소장자료를 보다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RFID를 도입하는 사업을 시작했다. 이 과정에서 아직 빛을 보지 못한 가치 있는 자료의 추가적인 발굴이 기대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한국국학진흥원이 영천 영일정씨 호수종택에서 기탁받은 자료에서 국내 현존하는 가장 이른시기의 과거시험 답안지인 정종소 문과 시권 2점을 발견했다. 한국국학진흥원 제공
한국국학진흥원이 영천 영일정씨 호수종택에서 기탁받은 자료에서 국내 현존하는 가장 이른시기의 과거시험 답안지인 정종소 문과 시권 2점을 발견했다. 한국국학진흥원 제공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