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구미, ‘회색’에서 ‘녹색’ 산업도시로…탄소중립도시 지정 추진

환경부, 이달 중 탄소중립도시 선정…2030년까지 500억원 지원
구미시, 지난 8월 녹색융합클러스터에도 선정

경북 구미 공단 전경. 구미시 제공
경북 구미 공단 전경. 구미시 제공

경북 구미시가 법정 '탄소중립도시(Net-Zero City)' 지정을 추진한다. 기존의 회색 이미지를 벗고 '녹색 산업 도시'로 거듭나기 위해서다.

구미시는 20일 '탄소중립도시' 선정을 위한 절차에 돌입했다고 밝혔다. 환경부, 국토교통부가 공동 지정하는 탄소중립도시로 최종 선정되면 오는 2030년까지 500억원의 사업비를 지원받는다.

환경부는 이달 중 탄소중립도시 예비대상지 20~30곳을 선정할 예정이다. 구미시는 지난 7월 사업 참여 의향서를 제출했다. 환경부는 예비 후보지 선정 이후 내년 1월 중 후보지선정 가이드라인을 발표하고 10월쯤 최종 후보지(10곳)를 확정할 방침이다.

탄소중립도시 사업은 이산화탄소를 거의 배출하지 않거나 이산화탄소를 배출한 만큼 청정에너지를 생산해 탄소 실질 배출량을 0으로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구미시는 탄소중립도시로 선정되면 민간 참여가 어려운 자원 순환 활성화 사업에 대한 국비 지원이 가능해지고, 정부가 각 부처별로 추진하는 관련 사업에도 참여할 수 있는 길이 열려 지역 기업의 탄소중립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구미시는 민·관 협력을 통한 지역 맞춤사업을 발굴하고, 온실가스 저감 국책 공모사업을 집중적으로 지원 받아 탄소중립을 조기 달성하겠다는 계획이다.

5개 국가산업단지를 보유한 구미는 저탄소 산업 생태계 전환이 절실한 곳이다. 그동안 구미시는 탄소중립지원센터와 탄소중립연구회(구미시의회)를 구성하는 등 조직 인프라 확보와 함께 기후변화 대응계획 수립 및 조례 제정에 힘써 왔다.

앞서 구미시는 지난 8월 환경부가 공모한 '녹색융합클러스터'에도 선정돼 '첨단 전자산업 자원순환 클러스터' 구축에 나서고 있다. 반도체산업에서 발생한 폐기물에서 실리콘을 추출한 뒤 정제해 이차전지 음극소재 원료로 공급하는 산업 기반을 구축하는 사업이다. 환경부에서 총사업비 490억원을 투입해 구미국가4단지 일원에 조성할 계획이다.

구미시 관계자는 "구미는 탄소중립도시 선정 조건이 이미 갖춰진 도시이자 사업 취지에 가장 부합하는 도시"라며 "탄소중립 선도 도시로 발돋움할 인프라 구축에 총력을 쏟겠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