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자진출두'했던 송영길, 네 번째 검찰 불출석…강제구인 수순 밟나

더불어민주당 전당대회 돈봉투 살포 의혹의
더불어민주당 전당대회 돈봉투 살포 의혹의 '정점'으로 지목된 송영길 전 대표가 8일 오전 검찰 조사를 받기 위해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검에 출석했다. 답변을 하던 송 전 대표가 유튜버들의 구호 및 소음이 커지자 답변을 멈추고 잠시 눈을 감고 있다. 송 전 대표는 2021년 4월 무소속 윤관석 의원이 전당대회를 앞두고 민주당 의원들에게 300만원씩 든 돈봉투를 하는 과정에 개입한 의혹을 받고 있다. 연합뉴스

'전당대회 돈봉투 살포 의혹'의 정점으로 지목된 송영길(60)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구속 이후 검찰의 네 번째 출석 요구에도 응하지 않았다.

송 전 대표가 검찰 조사를 사실상 전면 거부하면서 검찰이 강제 구인에 나설 가능성이 커졌다는 관측이 나온다.

26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반부패수사2부(최재훈 부장검사)는 이날 오전 10시부터 송 전 대표를 소환해 조사하려 했으나 불발됐다. 송 전 대표는 지난 18일 구속돼 서울구치소에 수감돼 있다.

검찰은 지난 20~22일 연이어 송 전 대표를 소환하려 했으나 송 전 대표는 변호인 접견이 필요하다거나 건강이 좋지 않다는 등의 이유를 들며 응하지 않았다. 이에 검찰은 연휴 기간이 지나고 이날 출석하라고 재차 통보했으나 송 전 대표가 또 불응한 것이다.

송 전 대표는 지난 20일 변호인을 통해 "어느 곳에 있든지 검찰에 굴복하지 않고 싸워나갈 것"이란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송 전 대표의 부인 남영신 씨도 지난 22일 기자회견에서 남편이 총선을 앞두고 정치적으로 '기획 구속'됐다며 강하게 반발했다.

송 전 대표가 소환에 거듭 불응하면서 검찰이 강제 구인에 나설 가능성이 커졌다. 구속 기한을 고려하면 검찰로서는 마냥 시간을 끌기 어렵기 때문이다.

송 전 대표의 1차 구속 기한은 오는 27일까지인데 한 차례 연장하면 최대 1월 6일까지 늘어난다. 그전에 송 전 대표가 계속 소환 조사에 불응하면 강제 구인에 나설 수도 있다는 것이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