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전청조 아니었네?' 2023년 뉴스 1위는…"558억 피해 발생한 태풍 카눈"

경호원들을 대동한 전청조 씨 모습. JTBC 방송화면 캡처
경호원들을 대동한 전청조 씨 모습. JTBC 방송화면 캡처

2023년 한 해 동안 국내 뉴스에서 가장 인기가 많았던 검색어는 '태풍 카눈'인 것으로 확인됐다. 그 뒤를 이어 '전청조 사기 사건', '초전도체' 등이 이름을 올렸다.

31일 구글에 따르면 올해 국내 뉴스 인기 검색어 1위는 태풍 카눈이었다. 카눈은 올해 8월 장마철 제6호 태풍으로 한반도에 상륙했다.

카눈이 한반도에 덮치면서 주로 남부지방에 피해가 집중됐다. 서울 종로구 한옥주택 지붕이 붕괴되고 인천 지역 침수 및 외벽 붕괴 사고 등 수도권 지역에서 피해가 속출했다. 이에 시민들은 네이버와 카카오가 각각 운영하는 '오픈톡', '실시간 나우톡' 등을 통해 실시간 기상 상황을 공유하기도 했다. 카눈으로 인해 발생한 피해액은 약 558억원이다.

특히 태풍 여파로 같은 달 1~12일 새만금에서 열렸던 '제25회 세계스카우트잼버리(이하 잼버리)' 대회도 조기 철수됐다. 수도권으로 상경한 여러 국가의 대원들은 서울 야경 투어와 케이팝 공연 등을 즐겼다. 잼버리 이슈 또한 뉴스 검색어 7위에 올랐다.

국내 뉴스 2위 검색어는 '전청조'인 것으로 확인됐다. 전청조는 1996년생 여성으로 전직 국가대표 펜싱 선수 남현희와의 재혼 소식으로 화제 인물에 올랐다. 당시 남현희는 전청조를 은퇴한 승마선수 출신으로 예체능 교육 사업가로 소개했다. 또 재벌 3세 '남자친구'로 알려졌던 전청조는 각종 사기 의혹 등이 퍼지면서 경찰에 붙잡혔다.

수사 결과 전청조는 주민등록상 성별이 '여성'인 것으로 확인됐다. 그는 지난달 9일 검찰에 구속송치된 상태다.

한국초전도학회
한국초전도학회 'LK-99' 검증위원회가 LK-99가 상온 초전도체라는 근거가 없다고 결론을 내자 신성델타, 씨씨에스 등 관련주가 일제히 하락했다. 김현탁 교수 유튜브 사이언스 캐스트(Science Cast) 캡쳐

국내 뉴스 3위는 '초전도체'였다. 초전도체는 올해 7월 30일부터 8월 5일까지 급상승했다. 초전도체는 '꿈의 물질'로 알려져 있는데, 전기 저항이 사라지고 물건을 공중에 띄울 수 있어서다. 그런데 이 물질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는 소식이 알려지면서 우리나라는 물론, 전세계과학계가 들썩였다.

다만 현재 국내외 주류 과학계에서는 상온 초전도체를 개발했다는 측의 주장에 근거가 없다고 보고 있다. 지난 13일 한국초전도저온학회 연구진은 국내 연구진이 알린 LK-99는 초전도체가 아니라고 결론을 내리기도 했다.

4위는 아이돌 그룹 '아스트로'의 멤버 문빈이었다. 지난 4월 문빈은 안타깝게 사망 소식이 들리면서 인기 검색어에 이름을 올렸다. 1998년생인 그는 2009년 KBS 드라마 '꽃보다 남자' 아역으로 연예계에 정식 데뷔했다. 또 2006년 동방신기의 '풍선' 뮤직비디오에도 출연해 '꼬마 동방신기'로 눈길을 끌었다.

서현역 칼부림 사건 피의자 최씨의 흉기 난동 범행 당시 모습(왼쪽)과 차량 돌진에 이용한 차량(경차 모닝). 매일신문DB, 연합뉴스
서현역 칼부림 사건 피의자 최씨의 흉기 난동 범행 당시 모습(왼쪽)과 차량 돌진에 이용한 차량(경차 모닝). 매일신문DB, 연합뉴스

또 검색어 5위와 10위는 '칼부림 사건'이었다. 5위를 기록한 신림역 칼부림 사건은 지난 7월에 발생했다. 이 사건은 서울 관악구 신림동 신림역 4번 출구 인근에서 30대 남성 피의자 조선이 칼부림을 일으켜 20대 남성 1명을 살해하고 30대 남성 3명에게 다치게 한 사건이다.

8월에는 서현역에 있는 쇼핑몰에서 한 남성이 차량을 몰고 행인을 덮치고 흉기를 휘두른 사건(10위)이 발생했다. 해당 기간 동안 다수의 칼부림 예고글이 올라오면서 사회적 불안이 높아지기도 했다.

6위(이선균)와 8위(이재명), 9위(주호민)는 모두 유명인사였다. 이선균의 경우 마약을 투약했다는 의혹이 알려지면서 시선이 집중됐는데, 그는 이달 27일 서울 종로구의 한 공원에서 숨진 채로 발견됐다. 이선균은 그동안 마약인 줄 모르고 투약했다며 범행의 고의성을 부인해왔다. 경찰은 이선균이 사망함에 따라 '공소권 없음'으로 수사를 종결할 방침이다.

이재명은 '단식'과 '구속' 등 검색어들과 함께 뉴스에 올랐다. 그의 검색어가 늘어난 것은 당시 정치권에서 발생한 이른바 '이재명 사법리스크'였다.

마지막으로 9위는 만화가 주호민이었다. 그는 지난 7월 말 발달장애가 있는 아들의 담당 특수교사를 아동학대 혐의로 고소했는데, 당시 교권 추락 주제와 맞물리면서 주목받았다. 학교 측에서는 해당 특수 교사를 옹호하며 탄원서까지 제출했고 여론도 주호민을 비판하는 분위기였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