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최연혜 가스공사 사장 "요금 인상 필요"

최연혜 한국가스공사 사장이 22일 세종시의 한 식당에서 열린 기자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최연혜 한국가스공사 사장이 22일 세종시의 한 식당에서 열린 기자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최연혜 한국가스공사 사장이 자구 노력만으로는 경영 정상화가 불가능하다며 조속한 가스요금 인상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최 사장은 22일 "극단적 상황을 막고자 모든 수단을 가동하고 있으나 자구 노력만으로는 해결이 불가능해 안정적 가스 공급을 위해서는 조속한 요금 인상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했다.

최 사장은 이날 세종시의 한 음식점에서 연 기자 간담회에서 "현재 미수금 규모는 전 직원이 30년간 무보수로 일해도 회수가 불가능해 마치 벼랑 끝에 선 심정"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미수금은 원가에 못 미치는 가격에 가스를 공급한 뒤 원가와 공급가의 차액을 향후 받을 '외상값'으로 장부에 적어 놓은 것으로 사실상의 영업손실이다. 가스공사의 민수용 도시가스 미수금은 13조5천억원에 달한다.

액화천연가스(LNG) 도입을 책임지는 가스공사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초래한 국제 에너지 위기 이후 원가보다 싸게 가스를 공급해 심각한 재무 위기를 겪고 있다. 2022년 이후 가스요금이 40%가량 인상됐지만, 현재 도시가스 원가율은 여전히 80% 수준이다. 가스공사가 1억원어치 가스를 공급하면 2천만원의 손해가 난다는 뜻이다.

가스공사에 따르면 2022년 이후 국제 LNG 가격은 약 200% 상승했지만, 국내 가스요금은 약 43% 인상되는 데 그쳤다.

최 사장은 요금을 올린다면 각 가정이 난방을 하지 않아 가스 사용량이 적은 여름이 적기라고 주장했다. 그는 "겨울에 사용량이 많은 수요 패턴상 요금 인상으로 인한 국민 체감도는 겨울철에 훨씬 높아질 수밖에 없다"며 "수요가 적은 여름철에 요금을 인상하고 단계적으로 연착륙시킬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최 사장은 13조원대 미수금의 영향으로 가스공사가 차입 규모를 확대할 수밖에 없어 재무 안정성이 심각한 수준으로 악화했다고 밝혔다. 가스공사의 차입금은 2021년 말 26조원에서 2023년 말 39조원으로 늘었다. 같은 시기 부채비율은 379%에서 483%로 상승했다.

그는 "현재 차입으로 살림을 꾸려가고 있는데 차입에 따른 이자 비용만 하루 47억원에 달한다"며 "이자 비용 증가는 다시 요금 상승 요인이 돼 국민 부담으로 이어진다"고 했다. 가스공사는 작년 한 해 이자 비용으로 1조7천억원을 썼다.

가스공사는 13조5천억원에 달하는 민수용 도시가스 미수금을 회수하려면 점진적인 방법이 현실적이라는 입장이다. 민수용 미수금을 1년 만에 모두 회수하려면 MJ(메가줄)당 가스 요금을 약 27원 인상해야 한다. 현재 도시가스 주택용 도매 요금은 MJ당 19.4395원이다.

최 사장은 "정부와 (여러) 시나리오를 놓고 협의하고 있기 때문에 저희가 (인상 폭이) 얼마라고 전혀 머릿속에 가지고 있지는 않다"며 "국민들이 인상에 공감해야 의사 결정을 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