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 직장인 10명 중 7명은 '환승이직'을 고려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한국경영자총협회(이하 경총)가 전국 20∼40대 정규직 근로자 1천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근로자 이직 트렌드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69.5%가 '이직을 고려한다'고 답했다.
연령대 별로는 ▷20대 83.2% ▷30대 72.6% ▷40대 58.2%로 집계돼 나이가 낮을 수록 이직을 고려하는 비율이 높았다.
이들이 이직을 고려하는 가장 큰 이유(복수 응답 가능)는 '금전 보상' 불만족으로 61.5%에 달했다. 이어 '과도한 업무량'(32.7%), '기대보다 낮은 평가'(27.4%), '회사실적 부진 등 미래에 대한 불안'(26.6%), '개인적 성장을 위해'(25.7%) 등 응답도 있었다.
응답자 3명 중 2명은 이직을 했었던 것으로 조사됐다. 67.8%가 '이직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나머지 32.2%는 현 직장만 근무하고 있다.
이직에 성공한 요인 중 가장 중요한 부분은 56.3%가 선택한 직무 관련 경력이다. 또 '차별화된 직무 역량'(27.9%), '직무 관련 자격증'(7.3%), '인맥 관리'(5.8%) 순이었다.
응답자의 절반은 이직을 연봉 인상 수단으로 여기고 있었다. 응답자 49.5%는 이직이 갖는 의미에 대해 '연봉 인상 수단'이라고 답했다. 이어 '개인적 성장 기회'(31.8%), '역량 검증 수단'(12.3%) 등이 뒤를 이었다.
이직 유경험자 10명 중 7명은 직장을 옮기면서 연봉이 올랐다. 이직 전 대비 ▷1∼10% 상승 33.8% ▷11∼30% 상승 27% ▷30% 초과 상승 7.7%로 집계됐다.
김선애 경총 고용정책팀장은 "젊은 직장인을 중심으로 이직을 계획하는 사례가 많아지고 평생직장이라는 개념이 점차 옅어져 가는 상황"이라며 "이직의 가장 큰 동기가 금전적 보상과 연관된 것으로 조사된 만큼 기업은 우수 인재 이탈 방지를 위해 직무·성과 중심 임금체계 도입 등 공정한 평가·보상 시스템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험지 경북' 찾은 이재명 "제가 뭘 그리 잘못을…온갖 모함 당해"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홍준표 "탈당, 당이 나를 버렸기 때문에…잠시 미국 다녀오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