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尹 21번째 거부권 행사에…“거부권을 거부” 서울 대규모 규탄집회

17일 오후 서울 광화문역 인근에서 열린노조법·방송법 쟁취! 8.17 거부권 거부 범국민 대회에서 참가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연합뉴스
17일 오후 서울 광화문역 인근에서 열린노조법·방송법 쟁취! 8.17 거부권 거부 범국민 대회에서 참가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16일 전 국민 25만 원 지원법과 노란봉투법에 대해 재의요구권(거부권)을 행사한 가운데, 이에 반발한 노동계가 서울 도심에서 윤 대통령 규탄 집회를 열었다.

거부권거부비상행동과 언론장악저지공동행동, 민주노총, 노조법 2·3조 운동본부 등은 17일 서울 종로구 광화문광장 인근에서 '8·17 거부권 거부 범국민대회'를 열고 "윤석열 대통령은 민생, 민주주의 관련 법안에 거부권을 남발하고 있다"며 정권 퇴진을 요구했다.

이날 집회는 주최 측 추산 약 2천명이 참가했으며 집회 참가자들은 "퇴진 투쟁 결심했다, 윤석열을 끌어내리자" 등의 구호를 외치며 서울고용노동청과 을지로2가를 거쳐 서울역까지 행진했다.

양경수 민주노총 위원장은 이날 집회에서 "노조법 개정은 한국 사회의 대개혁을 위한 필수조건이자 전제조건이며 한국 사회가 앞으로 나아가는 데 있어 노동자의 삶을 바꾸는 데 공영방송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윤석열 정권과 기득권 세력이 죽어도 막겠다는 두 법을 무슨 일이 있더라도 온 힘을 다해 통과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윤 정권이 버티는 한 국회 문턱을 10번, 100번 넘어도 거부권은 넘지 못할 것"이라며 "정권과 전면전에 사활을 걸고 모든 것을 내던져 싸워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앞서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범야권은 노란봉투법과 25만원 지원법을 국회 본회의에서 처리했으나 윤 대통령은 지난 16일 두 법안에 대해 거부권을 행사했다. 재임 중 21번째 거부권이었다.

이에 대해 정해랑 전국비상시국회의 대표는 "자본가들의 꼼수와 사회 변화에 따른 노동 영역의 확대 등에 따라 권리를 헌법에 맞게 개정하자고 하는 것이 노란봉투법"이라며 "반드시 개정돼야 하고 반드시 거부권이 분쇄돼야 한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