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섬유개발연구원이 기존 석유 원료 기반의 멀칭필름 제조용 소재를 팜유, 코코넛 오일과 같은 바이오 원료 기반의 생분해성 소재로 대체하기 위한 연구개발에 나선다.
멀칭필름은 농작물의 생육조건 유지 및 잡초 발생 방지를 위해 사용되는 필름이다. 업계에서는 사용 후 수거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생분해성 소재로 멀칭필름을 제조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현재 상용화된 멀칭필름용 생분해성 소재는 주로 PBAT(Polybutylene adipate-co-terephthalate)라는 고분자 물질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를 합성하기 위한 단량체인 아디핀산(adipic acid)과 테레프탈산(terephthalic acid)은 석유 원료에서만 생산할 수 있다는 단점을 지닌다. 기술적인 난이도를 고려하면 개별 기업이 단기간 내 바이오 기반으로는 개발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이에 한국섬유개발연구원 장순호 박사는 식물유 유래의 탄소 12~16개의 이산(diacid) 물질을 적용해 바이오매스 함량이 70% 이상이 되도록 분자 설계한 멀칭필름용 신규 생분해성 소재 개발을 진행한다. 이렇게 개발된 생분해성 소재는 바이오매스 기반으로, 기존 소재 대비 탄소배출 저감 효과가 높다. 공중합 성분 조절 연구를 통해 다양한 분야로 확대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한편 이번 연구는 2024년 산업통상자원부 소재부품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된다.
댓글 많은 뉴스
尹측 '중국 간첩' 언급에 선관위 "사실 아냐…사소한 실수, 부정선거 증거 못돼"
[단독] 영 김 美 하원의원 "탄핵 주도 세력은 한반도에 큰 재앙 초래할 것"
지지율 상승에도 기회 못 잡는 與…한가하게 개헌론 꺼낼 땐가
이준석 "황교안, 부정선거 1대1 토론 결단해달라"…거듭 제안
지지율 뒤집힌 민주 "잘못된 여론조사로 호도"… 조사업체 관리강화 법안 발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