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취업자 증가가 19만 명에 이르면서 올해 석 달 연속 10만 명대 취업자 증가 폭을 기록해 고용지표는 안정세를 보였다. 그러나 제조업·건설업 취업자는 급감했고, 청년층 취업문은 더 좁아지고 있다. 내수가 바닥세를 면치 못하면서 건설 경기도 살아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건설업 취업자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무려 18만5천 명이 줄었다. 2013년 통계 집계를 시작한 이래 최대 감소 폭이며, 11개월 연속 감소로 최장기간 감소세 기록도 깼다. 이런 기록은 앞으로 계속 깨질 전망이다. 고용지표는 대표적인 경기 후행지표(後行指標)인데, 지난해부터 이어진 건설업 부진이 지금 고용시장에 영향을 주고 있다는 뜻이다. 현재 건설업 흐름이라면 고용은 더 나빠질 수밖에 없다.
제조업도 같은 기간 11만2천 명 줄었는데, 코로나19 팬데믹 때인 2020년 11월(-11만3천 명) 이후 최대다. 제조업은 취업자 400만 명이 넘는 고용시장의 중추(中樞)다. 그나마 수출로 버텨 왔는데, 관세 충격의 여파가 본격화하면 제조업 일자리는 지금보다 훨씬 줄 수밖에 없다는 비관적 전망이 나온다.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관세 영향에 따라 제조업 등 수출 주력산업을 중심으로 고용 부진이 심화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는데, 관세 전쟁의 파장이 예상보다 충격적일 수 있다는 뜻이다.
구직자 1인당 일자리 수를 뜻하는 구인배수(求人倍數)는 1분기 0.33에 그쳤다. 외환위기와 글로벌 금융위기 때를 제외하고 가장 낮았으며, 코로나가 기승을 부리던 시기보다 악화됐다. 4년 연속 감소하던 청년층(15~29세) 장기(長期) 실업자가 지난해부터 증가세로 돌아섰고, 올해 2월 '쉬었음' 청년은 무려 50만4천 명으로, 2003년 통계 집계 이후 최대였다. 정부가 일자리 예산 신속 집행과 10조원대 필수 추경을 밝혔지만 상황을 반전(反轉)시킬 수 있는 묘책으로 보이진 않는다. 일자리가 사라지면 사회는 활력을 잃으며, 국민 불만이 고조되고 사회 갈등은 심화한다. 차기 정부로 떠넘길 수 없는 급박한 문제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검찰, '尹 부부 사저' 아크로비스타 압수수색…'건진법사' 의혹 관련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