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DGIST, 자폐·강박 반복행동에 '뇌 염증' 연관성 규명

엄지원 교수·정혜지 박사 연구팀…"새론 치료 접근법 제시할 수 있어"

DGIST 뇌과학과 엄지원(왼쪽) 교수와 정혜지 박사. DGIST 제공.
DGIST 뇌과학과 엄지원(왼쪽) 교수와 정혜지 박사. DGIST 제공.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뇌과학과 엄지원 교수 연구팀이 만성적인 뇌 염증이 반복행동장애를 유발하는 원인과 분자 작동 원리를 규명했다고 DGIST가 12일 밝혔다.

연구팀은 뇌 속 면역세포의 염증 반응이 특정 수용체의 과활성을 유도하고, 이를 통해 자폐스펙트럼장애(ASD)나 강박장애(OCD) 환자에게 나타나는 의미 없는 반복행동이 유발될 수 있음을 입증했다.

문이 제대로 잠겼는지 반복해서 확인하거나, 손을 여러 번 씻는 행동. 누구나 한두 번쯤 경험해봤을 이런 반복행동은, 증상이 심해지면 자폐 스펙트럼 장애나 강박장애로 이어질 수 있다. 지금까지는 주로 신경회로 이상이나 유전적 요인이 원인으로 추정됐으나, 뇌 염증이 이러한 행동을 유발한다는 직접적인 연관성은 밝혀지지 않았다. 엄 교수팀은 이번 연구를 통해, 반복행동에 뇌 염증이 핵심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제시했다.

DGIST 엄지원 교수는 "이번 연구는 만성 뇌염증이 반복행동장애를 유발한다는 것을 입증한 사례"라며 "반복행동을 주로 동반하는 자폐스펙트럼장애나 강박장애 치료에 새로운 치료 접근법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DGIST 뇌과학과 정혜지 박사가 제1저자로 참여했으며, 과학학술지 'Cell Reports'에 온라인 게재됐다. 또한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의 기초연구실지원사업 및 중견연구자지원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됐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