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시내버스 노조, 파업 당분간 미참여…교섭 계속

노조, 시급 8.2% 인상·정년 65세 연장 요구안 내세워
사측 "임금체계 개편 우선돼야"…市 "재정 부담 과해"

대구 중구 대중교통전용지구에서 시민들이 시내버스에 탑승하는 모습. 매일신문 DB
대구 중구 대중교통전용지구에서 시민들이 시내버스에 탑승하는 모습. 매일신문 DB

전국 시내버스 노조가 28일부터 동시다발적 파업을 예고한 가운데 대구는 파업에 참여하지 않고 버스를 정상 운행키로 했다. 다만 대구는 다른 지역에 비해 교섭 시작이 늦었고, 시와 노조 간 이견이 큰 상황이어서 뒤늦은 파업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한국노동조합총연맹 산하 전국자동차노동조합연맹 대구시버스노동조합(이하 노조) 등에 따르면 대구 시내버스 노사 임금·단체협약(임단협)은 지난 20일 5차 교섭을 마무리하고, 다음달 11일 6차 교섭을 앞두고 있다.

대구 시내버스 노조가 파업에 참여하지 않는 것은 사측인 대구시버스운송사업조합 이사장 선출이 지연된 탓에 교섭 시작이 다른 지역보다 늦어서다. 업계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7, 8차 교섭까지 한 뒤 노사 합의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조정 신청을 통해 파업 여부를 결정한다.

실제로 이후 상황에 따라 대구 시내버스 노조도 하반기 중 파업에 나설 가능성이 있다. 노조와 사측 의견차가 워낙 커서다.

노조 요구사항은 ▷시급(평균 1만1천935원·5호봉 기준) 8.2% 인상 ▷정년 만 63세에서 65세로 연장 등이다.

노조 관계자는 "남은 교섭을 거치고도 협상이 결렬될 경우 조정 신청과 파업도 검토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사측과 대구시는 노조 요구를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사측 관계자는 "노조와 협의는 하겠지만, 사측 부담이 크다. 지난해 통상임금 전원합의체 판결에 따라 상여금 등 수당이 통상임금처럼 간주돼 시급이 올랐다. 임금 체계 개편이 우선"이라고 말했다.

대구시도 현재 시내버스업체에 투입되는 재정 부담이 연간 2천20억원 가량인데 노조 요구대로 8.2% 인상되면 연간 부담금이 200억원 더 늘어난다며 수용 불가 입장을 밝혔다.

대구시 관계자는 "노조 요구대로면 준공영제 재정 지원금이 대폭 늘어난다. 조건을 받아들이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한편 노사 교섭에는 대구 시내버스 업체 26곳 중 22곳이 참여하고 있다. 이들 업체가 운행 중인 노선은 전체 127개 노선 가운데 75%를 차지해 만약 협상 결렬로 인한 파업이 실현되면 시민 불편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교섭에 참여하고 있지 않은 4개 업체는 업체 개별 노조가 있어 자체 협상을 진행한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