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소멸 위기 극복을 위해 경상북도가 중앙정부에 제안한 '광역형 비자 시범사업'이 이달부터 본격 시행된다. 지역의 인력 수요가 컸던 요양보호사를 비롯해, 모국에서 공학·컴퓨터 하드웨어 등을 전공한 인재 350명이 지역에 유입될 것으로 기대된다.
9일 경북도에 따르면 광역형 비자 시범사업은 지역 기반 이민정책을 추진하기 위해 광역지자체가 지역 특성에 맞는 비자 요건 및 절차를 설계하고 대상자를 추천하면 법무부가 비자를 발급하는 제도다.
경북의 광역형 비자 시범사업은 취업 비자인 특정활동(E-7) 비자 중 전문인력(E-7-1) 23개 직종, 준전문인력(E-7-2) 2개 직종 등 총 25개 직종에 대한 요건 및 절차를 설계했다. 사업 기간 350명의 우수 외국인을 도내 전역에 유치할 수 있다.
도가 지정한 해외 대학을 졸업한 뒤 관련 직종에 일정기간 이상 근무한 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자, 금속·재료 공학 기술자, 기계공학 기술자, 자동차·비행기·철도차량 공학 전문가 등이 대상이다. 이들은 이번 사업을 통해 지역 핵심 산업인 반도체, 2차전지, 자동차, 바이오 분야에서 일하게 된다.
요양보호사의 경우 국내 전문학사 이상 학위 소지자를 대상으로 요양보호사 자격증 보유, 사회통합프로그램 3급 이상 이수 또는 한국어 능력시험 3급 이상 등 별도 요건을 충족해야 한다.
광역형 비자를 발급받은 외국인은 최초 허가된 근무처에서 1년 이상 근무해야 한다. 요건을 충족하면 연장 근무도 가능하다. 연간 최소 급여는 법무부 고시에 따라 E-7-1 직종은 2천867만원 이상, E-7-2 직종은 2천515만원 이상이다.
도는 광역형 비자 시범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구미에 K드림 외국인지원센터를,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에는 해외인재유치센터를 각각 운영 중이다.
황인수 도 외국인공동체과장은 "광역형 비자 시범사업을 통해 지역기반 이민정책의 새로운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지역 기업 실정에 맞춘 인재를 유치하는 실직적 효과가 있는 사업이 되도록 도내 기업과 경북 정착을 희망하는 우수 외국인의 많은 관심을 바란다"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백종원 저격수'가 추천한 축제…황교익 축제였다
윤희숙 여의도연구원장, 국민의힘 새 혁신위원장
트럼프 '25% 관세' 압박에…한국, 통상+안보 빅딜 카드 꺼냈다
李대통령, 이진숙 국무회의 제외 결정…"공무원 중립의무 위반"
감사원 "이진숙 방통위원장 정치중립 의무 위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