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집계하는 경기선행지수(CLI)에서 한국이 7개월째 상승하며 3년 7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13일 OECD에 따르면 지난달 한국의 경기선행지수는 101.08로 2021년 11월(101.09) 이후 3년 7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경기선행지수는 미래 6∼9개월 후 경기 흐름을 미리 가늠하는 데 쓰이는 지표다. 이 지수가 기준선인 100보다 높으면 향후 국내총생산(GDP) 수준이 장기 추세를 웃돌 것으로 예상된다는 의미다. 100보다 낮으면 그 반대를 의미한다.
한국의 경기선행지수는 2022년 7월(99.82)부터 20개월 동안 100 아래에 머물다가 지난해 2월(100.02) 100을 넘어섰다. 이후 완만히 상승하다가 지난해 8∼11월 하락했고 다시 12월부터 7개월 연속 상승세를 보인다.
지난달 한국의 경기선행지수 수준은 OECD가 공개한 12개 회원국 중 영국(101.16)에 이어 두 번째로 높았다. 지난해 12월과 올해 1월 각각 4위를 기록했고, 올해 2월 3위로 오른 뒤 3월부터 2위 자리를 유지하고 있다.
한국의 지수 수준은 주요 20개국(G20) 평균인 100.50이나 주요 7개국(G7) 평균인 100.51과 비교해도 높은 수준이다. 한국 지수가 다른 OECD 국가와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더 강한 미래 경기 확장 기조를 가리킨다는 뜻이다.
정치적 불확실성 해소와 새 정부의 확대 재정정책 등이 지수 상승 흐름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에 무게가 실린다.
실제 최근 지표를 보면 경기 반등을 기대할 수 있는 조짐이 일부 나타난다. 한국은행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4월(93.8) 5월(101.8) 6월(108.7) 석 달 연속 크게 개선되는 모습이다.
고금리 기조가 완화하는 동시에 2차 추가경정예산을 통한 12조원 규모 소비쿠폰도 조만간 풀리며 소비가 회복할 가능성도 점쳐진다.
산업통상자원부 수출입 동향을 봐도 올해 2·3·4·6월 수출은 1년 전 같은 달보다 각각 늘었다. 특히 미국의 관세 위협에도 6월 수출액은 598억 달러로 역대 6월 중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원·달러 환율은 4월 11일 장중 1,487원 60전까지 뛰어오르며 불안한 모습을 보였으나 최근에는 1,300원대 후반에서 다소 안정된 모습을 보인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이 다음 달 1일부터 부과하겠다고 예고한 '대한국 25% 상호관세' ▷주력 산업인 제조업과 건설업 부진 ▷이에 따른 생산 증가세 둔화 등은 국내 경제를 여전히 위협하는 요인으로 꼽힌다.
댓글 많은 뉴스
이진숙·강선우 감싼 민주당 원내수석…"전혀 문제 없다"
"李 '이진숙, 문제있는 것 같아 딱하다' 언급"…정규재 전언
방위병 출신 안규백 국방장관 후보자, 약 8개월 더 복무한 이유는?
"꾀병 아니었다…저혈압·호흡곤란" 김건희 여사, '휠체어 퇴원' 이유는
[야고부-석민] 외교 대참사 예고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