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관광 명소로 떠오른 대구 달성군 가창면 폐채석장의 안전 문제가 심각해 출입 통제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달성군청은 수요주에 원상복구를 촉구하는 한편 출입 금지 등 안전 대책을 고심하고 있다.
영남자연생태보존회는 최근 발간한 '가창 폐채석장 지질환경조사서'을 통해 이곳 안전문제를 지적했다. 채석 과정에서 깎인 절벽면과 노후 채석장비, 깊은 물웅덩이 등 위험 요소가 적잖아 대형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해당 폐채석장은 사유지이지만 에메랄드빛 웅덩이와 절벽이 어우러진 풍경으로 온라인 상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다. 특히 사진 명소로 알려지면서 채석장 부지 안쪽까지 들어가 '인증샷'을 찍은 모습도 어렵잖게 찾을 수 있다.
조사서에 따르면 폐채석장 절취사면 높이는 약 80~90m로, 경사는 수직에 가까운 고각을 이루고 있다. 자연적으로 고인 저수지의 깊이는 약 30m로 추정했다.
보존회는 가파른 절벽이 물과 직접 맞닿아 있어 낙석 가능성이 크고, 채석이 중단된 뒤 장기간 아무런 조치 없이 방치돼 있어 붕괴 위험도 높다고 지적했다. 가창 채석장은 2015년 채석을 멈춘 뒤 지금까지 별다른 관리가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보고서는 시민들의 안전을 위해 부지 내 출입을 금하고, 폐채석장 절벽을 깎고 호수를 흙으로 메우는 등 원상복구가 절실하다고 주장했다. 산지관리법 등에 따르면 채석장 폐광 시 사업자는 복구계획을 제출하고 이를 이행해야 한다.
문제는 복구비용이다. 지난 2020년 한국토지주택공사와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의 조사에 따르면, 채석장의 복구비는 1만㎥당 평균 12억원에 달한다. 해당 폐채석장의 면적이 약 8만㎡임을 감안하면 복구 비용은 100억원에 육박할 전망이다.
달성군청은 소유주와 협의해 원상복구를 촉구하는 한편 출입 통제를 비롯해 안전 조치를 검토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군청이 채석장을 사들인 뒤 관광 자원으로 활용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기도 했지만 이는 사실이 아닌 것으로 확인됐다.
달성군청 관계자는 "관련 법에 따라 채석장 소유주에게 복구 계획서를 제출하라고 지시한 상태"라며 "군청이 사들여 채석장을 관광지로 활용할 계획은 없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대구 찾은 조경태, 강력한 인적 쇄신 강조 "한남동 관저 앞 45명 인적청산"
[단독] 허위 저격 논란 '백종원 저격수'… 과거 허위 방송으로 징계
정부 관심 벗어난 '대구경북신공항'…TK 정치권 뭐하나
홍준표 "해산될 정당으로 안 돌아가…9월부터 홍카콜라 재개"
우상호 "강선우 임명 강행은 與 지도부 의견…대통령 고민 많이 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