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이 대선 이후 반전의 계기를 마련하지 못하면서 이례적으로 낮은 지지율을 보이고 있다. 여기에는 '유능한 야당'의 모습을 보이긴커녕 소모적 논쟁에 골몰, 쇄신을 위한 첫발조차 제대로 떼지 못하고 있는 탓이 크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민의힘이 총선과 대선에서 연달아 패한 것은 지도부의 실패와 그간 악화해 온 당내 체질개선 실패가 맞닿아 있다는 평가다.
한 야당 관계자는 "대통령의 독주를 견제하지 못했던 집권 초기 지도부는 물론, 신뢰 붕괴로 정권의 몰락을 재촉했다는 평가를 받는 후기 지도부에 이르기까지 당의 목소리를 하나로 모으는 데 실패했다"며 "민주당은 똘똘 뭉친 생계형 정당, 국민의힘은 모래알 같은 '부업형 정당'이라는 시쳇말도 유행한다"고 지적했다.
이런 양상은 대선 이후로도 마찬가지였다. 대선 패배 직후 김용태 당시 비대위원장은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반대 당론 무효화 ▷한덕수 전 국무총리 대선 후보 교체 시도 당무 감사 ▷9월 초까지 전당대회 개최 ▷당론 결정 시 당심과 민심 모두 반영 ▷100% 상향식 공천 실시 등 5대 개혁안을 들고 나왔으나 당내 호응을 얻지 못한 채 임기 만료로 물러났다.
이후 안철수 의원이 혁신위원장 직을 수락했으나, 그 직후 비대위와의 이견을 들며 사퇴하면서 혁신위를 통한 당 개혁의 동력을 상당 부분 소모했다. 인적쇄신론이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혁신위원 인선안을 두고도 "전체적으로 합의된 안이 아니다"며 지도부와 심각한 엇박자를 냈다.
뒤이어 선임된 윤희숙 혁신위원장 역시 혁신안을 연이어 내놨으나, 최고위원제 폐지, 중앙당무회의 신설 등을 놓고 "당내 민주주의에 역행하는 것"이라는 비판이 잇달았다. 곧이어 들고 나온 송언석 비대위원장 겸 원내대표, 나경원, 윤상현, 장동혁 의원 등에 대한 인적청산론 역시 당내 반발여론에 부딪혀 유의미한 논의로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
당내에서는 특정인의 입당 여부, 대선 전후 당무에 대한 각종 의혹 제기가 전·현직 의원, 최고위원 사이에서 오가며 진흙탕 싸움이 벌어지고 있다. 여기에 수해 등이 겹치며 혁신위는 좀처럼 힘을 받지 못한 채 사실상 전당대회로 시선이 넘어가는 국면이라는 게 여의도 정가의 중론이다.
당이 '조기 재정비'에 실패하면서 정부여당의 집권초기 인사 문제, 상임위 배분 등 실정 및 독주를 제대로 견제할 수 없었다는 목소리도 크다.
장우영 대구가톨릭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1995년 전국동시 지방선거 부활 이래 집권 초기 정부여당이 패한 사례가 없다. TK를 제외한 다른 지역에서 모두 패할 가능성도 염두에 둬야 하는데, 보수정당이 이렇게까지 위기에 처한 적은 없다"며 "한국정당 역사상 인적청산 없이 혁신에 성공한 사례가 없다는 점을 기억하지 않는다면 다음 기회는 없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댓글 많은 뉴스
대구 찾은 조경태, 강력한 인적 쇄신 강조 "한남동 관저 앞 45명 인적청산"
[단독] 허위 저격 논란 '백종원 저격수'… 과거 허위 방송으로 징계
정부 관심 벗어난 '대구경북신공항'…TK 정치권 뭐하나
홍준표 "해산될 정당으로 안 돌아가…9월부터 홍카콜라 재개"
송언석, '입당 논란' 전한길 언행 조사 지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