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가 올해 도정 역량을 결집해 추진 중인 저출생 극복 정책이 순조롭게 추진되고 있다.
경북도는 올 상반기 기준 저출생 극복 150대 과제의 평균 추진율이 54%라고 11일 밝혔다. 이는 올해 1분기(34%) 대비 20% 향상된 수준으로, 국·도비 예산도 총 2천576억원(집행률 58%)을 집행하는 등 순항하고 있다.
도는 저출생 문제 해결을 위해 청춘남녀 만남주선부터, 행복출산, 완전돌봄, 일·생활 균형, 양성평등 등 저출생 전주기 대응 6대 분야에 사업을 추진 중이다. 만남주선 분야에선 20대 신혼부부 혼수비용 100만원 지원 사업을 상반기 총 138건 집행했으며 도내 각 시·군별로 맞춤형 만남주선 사업이 추진 중이다. 특히, 지난 10일까지 3박4일 일정으로 예천과 울릉에서 진해된 경북 솔로마을의 경우 남성 19.3대1, 여성 5.1대1의 높은 경쟁률을 보이는 등 청춘남녀의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다.
출산 분야 지원정책도 성과를 내고 있다. 상반기 총 5천512명에 대한 난임 시술비를 지원했으며, 산모·신생아 건강관리(3천806명), 생애초기 건강관리(4천979명) 등 건강한 임신과 출산을 돕고 있다. 이외에 출산 축하 꾸러미 지급, 입산부 친환경 농산물 지원 사업도 계속 추진 중이다.
돌봄 분야에선 어르신 일자리 선도모델 시범사업인 조부모 손자녀 돌봄지원(480명)을 비롯해, 아이돌봄 종사자 처우 개선비 지원(2천820명), 아이돌봄 서비스 지원(1만3천271명) 등을 추진 중이다. 또 아픈 아이 긴급돌봄센터와 24시 시간제 보육 시설 확대를 통해 돌봄 공백 최소화에도 공을 기울이고 있다.
도가 추진하는 공동체 돌봄 모델인 K보듬6000은 연말까지 12개 시·군 77곳으로 확대된다. 구 안동·예천에선 공동주택 1층을 0세 아동을 대상 특화 돌봄시설로 꾸리는 사업도 추진 중이다.
신혼부부 월세지원 350세대, 청년 월세 한시 특별지원 8천758명 등 청년 체감형 주거 안정사업도 속도를 내고 있다. 전국 최초로 운영하는 일자리 편의점(포항·구미·예천)은 임신 등으로 경력이 단절된 여성 161명의 취업을 연계했으며, 육아기 부모 단축근로시간 급여보전과 초등 맘10시출근제 도입 등 일·생활 균형사업도 차질없이 추진되고 있다.
이외에 도는 세 자녀 이상 가족 진료비 지원(2천78가구), 다자녀 가정 농·수산물 구매 지원(6만154가구), 아동친화 음식점 지정(181건) 등 양성 평등 육아환경 조성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김학홍 도 행정부지사는 "시·군과 협업을 통해 추진된 정책들이 성과로 이어지고 있다. 하반기에는 더욱 신속한 예산 집행과 돌봄, 주거, 일‧생활 균형까지 아우르는 전방위적 대책을 더 강력히 추진해 3분기까지 150대 과제의 추진율을 90%까지 끌어올리겠다"라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전대 소란' 논란에... "전한길, 모든 전당대회 출입 금지"
대통령 '특정인 면죄부' 견제 없는 사면권…무소불위 권력 지적
"배신자" "음모론자" 두 쪽 나버린 국민의힘 대구경북 합동연설회
'시진핑·中대사 얼굴' 현수막 찢었다가…尹 지지단체 입건
'조국·윤미향' 영향?…李대통령 지지율 56.5%로 최저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