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미국 오스틴 거점에 韓 소부장 기업 집결…반도체 산업단지 조성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삼성전자 테일러 공장 가동 맞춰 유망 기업 생산기지 구축 속도전

삼성전자 미국 텍사스 오스틴 공장. 삼성전자 제공
삼성전자 미국 텍사스 오스틴 공장. 삼성전자 제공

삼성전자 미국 텍사스주 테일러 공장을 중심으로 한국의 반도체 소재·부품·장비(소부장) 기업들이 모이면서 산업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다.

9일 업계에 따르면 기업 간 거래(B2B) 산업자재 유통기업 아이마켓코리아의 100% 자회사인 아이마켓아메리카(IMA)는 오는 17일(현지시간) 미국 테일러시에 조성 중인 산업단지 '그래디언트 테크놀로지 파크'의 착공식을 개최한다.

이 행사에는 텍사스주 및 한국의 주요 인사들과 텍사스주 진출을 모색하는 국내 관계자 등 100여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삼성 테일러 공장 인근에 있는 그래디언트 테크놀로지 파크는 약 82만㎡(약 26만평) 부지에 수억달러가 투입된다. 이 산업단지는 총 3단계로 진행되며 1단계는 2027년, 2단계는 2029년, 3단계는 2031년 완공을 목표로 한다.

한국을 비롯한 해외 글로벌 반도체 소부장 업체들이 입주할 계획이며 바이오, 의료기기, 전기차 관련 분야 등의 업체도 들어설 전망이다.

아이마켓코리아 관계자는 "이번 산업단지 조성 프로젝트는 삼성전자의 테일러시 대규모 투자 결정이 계기가 됐다"며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 및 주요 글로벌 제조 거점과 인접한 전략적 입지를 갖추고 있는 만큼, 글로벌 기업들의 북미 시장 진출 전진기지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 텍사스주 오스틴에서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공장을 운영 중인 삼성전자는 앞서 2030년까지 미 현지 반도체 생산 거점을 위해 370억달러(약 54조원) 이상을 투자할 계획이다. 특히 내년 가동 개시를 목표로 텍사스주 테일러에 3나노 이하 최첨단 공정을 갖춘 파운드리 공장을 건립 중이다.

여기에 삼성전자의 소부장 협력사인 동진쎄미켐과 솔브레인 등도 미국 텍사스주에 신공장을 짓고 있으며, 추가 투자를 통해 생산 시설을 확대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인공지능(AI) 수요 확대와 테슬라 등 핵심 고객사를 확보한 삼성전자의 테일러 공장으로 수요가 몰리고 있는 가운데, 산업단지 조성과 협력 업체들까지 테일러로 집결함에 따라 안정적인 현지 반도체 생태계가 만들어질 수 있다는 관측이다 나온다.

삼성전자는 테슬라와 지난 7월 약 23조원 규모의 AI 반도체 칩 'AI6'의 공급계약을 맺었다.

업계 관계자는 "삼성전자 테일러 공장 주변으로 반도체 소부장 업체들이 모이는 것은 현지 인센티브 확보는 물론 삼성전자와 원활하고도 안정적인 공급망을 구축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이라며 "내년 테일러 공장의 가동도 순항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