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민 지배 반성' 무라야마 前 일본 총리 별세…향년 101세
'무라야마 담화'로 잘 알려진 무라야마 도미이치 전 일본 총리가 17일 101세를 일기로 별세했다.NHK와 아사히 신문 등에 따르면, 무라야마 전 총리는 이날 노환으로 별세했다.무라야마 전 총리는 사회당 소속으로...
2025-10-17 14:03:15
미국 정부 기능 마비 '셧다운' 8일째, 운영 정상화할 임시예산안 또 부결
미국 의회가 8일(현지시간)에도 연방정부 운영 정상화에 필요한 임시예산안 처리에 합의하지 못했다. 벌써 여섯 번째다. 일부 기능이 마비된 미국 정부의 '셧다운(일시적 업무정지)' 사태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2025-10-09 16:52:39
마이클 디솜브리 美 국무부 동아태차관보 지명자 인준 통과
미국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동아태) 차관보 지명자인 마이클 디솜브리 전 태국 주재 미국 대사가 7일(현지시간) 연방 상원의 인준 절차를 통과했다. 올해 3월 동아태 차관보로 지명된 지 7개월 만이다. 국무부 ...
2025-10-09 16:52:29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정년 연장과 연계한 연금 개혁을 중단할 가능성이 대두되고 있다. 프랑스 정부가 예산안을 둘러싸고 진퇴양난에 빠진 정치적 난국을 타개하기 위해서다. 마크롱 대통령 취임 이...
2025-10-09 16:52:18
[이·하마스 휴전] 국제사회는 환영…"전쟁 완전히 멈춰야"
국제사회는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가 미국과 주변국의 중재로 8일(현지시간) 1단계 휴전에 합의하자 환영 입장을 내놨다.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이날 엑스(X·옛 트위터)를 통해 유...
2025-10-09 15:53:13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가 8일(현지시간) 1단계 휴전에 전격 합의했다. 하지만 전쟁의 상흔은 엄청 컸다. 2년간 이스라엘군의 대대적 공격으로 가자지구에서 6만명이 넘는 사망자가 발생하고 대...
2025-10-09 15:52:44
[이·하마스 휴전]인질 석방 첫 단추 끼웠지만…향후 협상 '험로'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가 8일(현지시간) 전쟁 2년 만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제시한 '가자 평화 구상' 1단계에 합의했다. 하지만 향후 종전 과정은 하마스 무장해제, 팔레스타인 과도정...
2025-10-09 15:51:28
중국이 희토류에 대한 통제를 강화한다. 9일 중국 상무부는 희토류 채굴, 제련 분리, 금속 제련, 자성 재료 제조, 희토류 2차 자원 재활용 관련 기술과 저장장치 및 이와 관련된 생산 라인의 조립, 디버깅, 유지 ...
2025-10-09 10:36:32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가 '가자 평화 구상' 1단계에 합의를 이뤘다고 발표했다. 8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을 통해 "이스라엘과 하마스...
2025-10-09 08:08:07
노벨화학상, '금속·유기 골격체' 개발 日교수 등 3인, 日 노벨생리의학상 이어 화학상까지
올해 노벨화학상은 '금속-유기 골격체'(Metal-Organic Frameworks·MOF)라는 새로운 분자 구조를 만든 기타가와 스스무 일본 교토대 교수, 리처드 롭슨 호주 멜버른대 교수, 오마르 M. 야기 미국 UC버클리대 교수 ...
2025-10-08 18:56:00
다카이치 日 자민당 신임 총재 "야스쿠니신사 참배 보류 논의"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집권 자민당 총재가 이웃 국가들의 반발을 우려해 극우 행보를 자제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8일 현지 언론에 따르면, 이달 17∼19일 야스쿠니신사에서 열리는 추계 예대제 때 참배를 ...
2025-10-08 18:10:52
존 노 美 인·태 차관보 지명자 "韓 국방비 대폭 늘려 中 위협 억제시켜야"
미국 국방부 인도·태평양 차관보로 지명된 존 노(John Noh) 동아시아 담당 부차관보가 7일(현지시간) 인태 지역 안보 최대 위협 요인으로 중국을 지목했다. 미 연방 상원 군사위원회 인준 청문회에 제출한 답변에...
2025-10-08 17:58:01
연락 두절된 노벨상 수상자…로키산맥 여행 중 전화 엇갈려
2025년 노벨 생리의학상 공동수상자로 선정됐지만 한동안 연락이 두절돼 궁금증을 자아냈던 미국의 면역학자 프레드 램즈델이 휴대전화기를 '비행기 모드'로 해 두고 로키산맥 여행을 하느라 연락을 받지 못했던 ...
2025-10-08 16:30:53
미·중 정상회담, 30일 가능성…경주박물관 중정 역사적 무대 될까
10월 말 열리는 경북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서 가장 이목이 집중되는 미중 정상회담이 10월 30일 열릴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정상회담 장소를 두고는 막판까지 미중 양국 간 줄다리기...
2025-10-08 16:20:38
대만 외환보유액 사상 첫 6천억 달러 돌파…AI 열풍 속 자본유입 확대
대만의 외환보유액이 사상 처음으로 6천억 달러를 넘어섰다. 글로벌 인공지능(AI) 투자 열기와 미국 금리 인하 기대감 속에 대만 금융시장으로의 자본 유입이 급증한 결과다. 7일(현지시간) 대만중앙통신에 따르...
2025-10-08 15:51:55
트럼프 비판한 노벨물리학상 수상자…"연구지원금 삭감은 재앙"
올해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한 존 클라크 버클리 캘리포니아대(UC 버클리) 교수가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연구지원금 삭감을 '재앙'이라고 비판했다. 7일(현지시간) AFP통신에 따르면 클라크 교수는 이날 기...
2025-10-08 13:22:50
댓글 많은 뉴스
3500억 달러 선불 지급, 외환부족 우려에…美 "달러 대신 원화로 투자"
[단독] 中 건보료 55억원 흑자? 6조원 받아갔다
대법원 휘저으며 '쇼츠' 찍어 후원계좌 홍보…이러려고 현장검증?
[단독] 카카오 거짓 논란... 이전 버전 복구 이미 됐다
'캄보디아 송환' 與野공방…"범죄자 송환쇼" vs "정쟁 수단 안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