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동방' 與개입 실명거론 파문

동방금고 사건에 여권 실세가 개입됐다는 'K.K.K.P설'과 관련해 한나라당 이주영 의원이 2일 법사위의 대검찰청 국감에서 "민주당 권노갑 최고위원, 김옥두·김홍일 의원, 청와대 박준영 대변인이 당사자"라며 실명거론, 파문이 일파만파로 확산되고 있다. 민주당은 즉각 한나라당의 해명과 이회창 총재의 사과를 요구하는 한편 법적조치에 나설 뜻을 밝혔으나 한나라당은 "국민적 의혹해소를 위해 불가피했다"며 일축했다.

민주당은 3일 오전 최고위원 회의를 열고 정현준 한국디지탈라인 사장의 사설펀드 가입자로 당 지도부 인사 4명을 실명거론한 한나라당 이 의원을 윤리위에 제소키로 했다. 서영훈 대표는 "상생의 정치를 하자던 한나라당이 이제는 폭로가 아니라 허위사실을 유포, 국정운영을 어렵게 하고 있다"며 "중상·음해 발언에 엄중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서 대표는 또 "본인의 잘못을 인정한 뒤 유서까지 남기고 자살한 장래찬 전 금감원국장에 대해 타살 운운하더니 급기야 증거도 없는 허위사실을 유포하는 것은 도저히 묵과할 수 없는 사태"라면서 "어제의 발언은 한나라당 이회창 총재의 지시에 의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한나라당 지도부를 비난했다.

박병석 대변인도 성명을 내고 "국감장에서의 이 의원 발언은 면책특권을 악용해 국민을 현혹시키는 한나라당식 공작정치의 전형"이라며 "당과 개인의 명예를 훼손한데 대해 법적제재를 포함 모든 책임을 묻겠다"고 밝혔다. 국회 윤리위 제소와 민사소송 제기를 밝힌 박 대변인은 또 한나라당 이 총재를 비롯한 당 지도부의 공식사과를 요구했다.

이에 대해 권철현 한나라당 대변인은 3일 오전 기자회견을 갖고 "현재 정현준 펀드에는 여권인사의 보좌관이나 비서관, 친인척 명단이 포함돼 있고 가·차명 계좌도 확인이 필요하다"며 "이 의원의 발언은 국민의 알권리를 충족시켜주기 위한 당연한 것이었다"고 반박했다. 또 "실명이 거론된 사람들은 왜 자신의 이름이 거론됐는가를 깊이 반성하고 검찰도 철저한 수사로 신뢰를 떨어뜨리지 않기 바란다"고 말했다.

2일 국회 법사위의 대검찰청 국감에서 한나라당 이 의원은 박순용 검찰총장에게 "증권가 등에서 한국디지탈라인 정 사장의 사설펀드에 가입한 'K.K.K.P' 가 민주당 실세 권노갑씨와 김옥두·김홍일 의원이며 차관급 P씨는 박준영 청와대 공보수석이라는 얘기가 있는데 맞느냐"고 질문해 파문을 일으켰다.

이 의원은 이어 "권력 실세들이 주식차익을 총선자금으로 쓴 것이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되고 있다"면서 "만일 이들이 엄청난 차익을 얻었다면 검찰은 그 투자금액이 어디에서 나왔는지, 탈세의혹은 없는지 조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대검찰청 감사는 "정 사장이 검찰에 제출한 5개 펀드 가입자 653명의 명단에는 이 의원이 지목한 이름은 없다"는 박 총장의 해명에 한나라당 의원들이 "가·차명계좌도 있을 수 있다"며 물러서지 않았고 이에 민주당 의원들이 "그러면 한나라당은 차명계좌를 다 확인했느냐"고 맞서 중단되기도 했다.

실명폭로한 한나라당 이 의원이 정회후 신상발언을 통해 "국민이 궁금해 하는 점을 확인한 것일 뿐이므로 사과할 필요가 없다"고 물러서지 않자 민주당 의원들은 "장난치는 거냐" "폭로 국감장에 들러리 설 필요가 없다"며 집단 퇴장했다.

김태완기자 kimchi@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