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새 퍼부은 비로 학교 앞 샛강 넘치는 날은
학교에 가지 않아도
결석으로 처리되지 않았다
그런 날은
누나를 졸라서
사카린 물 풀어먹인
밀이나 콩 볶아
어금니 아프도록 씹으며
주룩주룩 쏟아지는 비를 바라보거나
배 깔고 엎디어 만화책을 볼 때면
눅눅하고 답답한 여름 장마도
철부지 우리에겐 즐겁기만 했고
아버지 수심에 찬 주름진 얼굴도
돌아서면 우리와 상관없는 일이라
형과 나는 은밀한 눈빛으로
내일도 모레도 계속 비가 내려
우리집만 떠내려 가지 말고
샛강 물은 줄지 않기를
낄낄거리며 속삭이곤 했다
-윤일현 '장마철-낙동강 6'
강마을 아이는 강이 키우고 산골짝 아이는 산이 키운다. 강에 영혼의 젖줄을 대고 산 높이 만큼 자신의 키를 키우며 우리들은 자라났다. 추억이다. 그러나 산업화 이후 추억이 없어졌다.
하이데거는 사슴이 내려와 물을 먹지 못하는 라인강은 인간을 배제한다고 했다. 댐을 막아 공업용수로 쓰이는 낙동강에 더 이상 유년이 있을 수 없다. 죽은 강이 되었다. 우리집만 떠내려 가지 않기를 바라는 어린 그 마음이 바로 시가 되었다. 김용락〈시인〉
댓글 많은 뉴스
윤희숙 여의도연구원장, 국민의힘 새 혁신위원장
트럼프 '25% 관세' 압박에…한국, 통상+안보 빅딜 카드 꺼냈다
李대통령, 이진숙 국무회의 제외 결정…"공무원 중립의무 위반"
[단독] '백종원 저격수'가 추천한 축제…황교익 축제였다
"광주 軍공항 이전 사실상 국정과제화"…대구 숙원 사업 TK신공항은